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매너있는돌고래292
매너있는돌고래29223.07.28

다른 것과 틀린 것을 구분 못하는 사람들이 왜이리 많은거죠?

사회 생활 하다보면 다른 것과 틀린 것을 구분 못하는 사람들이 많더라고요. 외국과 비교했을 때 한국인들이 이게 심한거 같은데, 일단 남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면 그 사람이 어떻게 행동하던지 어떻게 살던지 그 사람의 스타일 아닌가요? 별 것도 아닌 거 같다가 시덥지 않은 오지랖에 감놔라 배추놔라 참견이 심하더라고요. 그 참견들도 곰곰이 생각해보면 영양가 1도 없고 그 오지라퍼들의 주관적 의견에 맞추려는 참견이 대부분이죠. 유독 한국인들이 획일화 된걸 좋아하고 다양성을 인정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과거부터 우리 민족은 타인을 의식하는 삶을 살았으며, 현재 우리들도 비슷한 양상을 보입니다.

    개인주의가 아닌 집단 속에서 타인을 의식하고, 타인에 대해 참견하며 우월감을 느끼기도 하기때문으로, 나와 다르거나, 생각, 의견이 다르면 틀리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는 우리 생활에 여러 군데서 발견 가능 합니다. 힌두교에서는 쇠고기를, 이슬람교에서는 돼지고기 먹기를 금지하는 문화적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비난하고 차별하는것도 일종의 다양성에 대한 차별 입니다. 유독 대한 민국이 이렇게 다양성을 인정 하지 못하는 이유는 단일 민족 국가라고 하는 자부심 아닌 자부심의 영향과 어릴 때 부터 몸에 익은 주입식 교육 때문 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상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틀리다라는 말이 널리 쓰이면서 의미가 확장된 예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람들이 틀리다에 다르다의 의미까지 포함시켜서 사용하기 때문에 벌어진 현상입니다. 하지만 분명히 다른 뜻이기 때문에 혼용해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틀리다가 널리 계속 쓰이다보면 다르다가 포함된 뜻으로 국립국어원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할 가능성도 조금은 있지만 지금은 구분해서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제식 교육의 영향이라고 봅니다. 다수가 선택하는 것이 옳고 소수의견을 인정하지 않는 풍토가 만들어낸 결과입니다. 나와 다르다고 틀린 것이 아니고 다른 것인데 이 다름을 인정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일제식 교육의 결과로 다름을 인정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영국의 철학자 포퍼는 내가 틀리고 당신이 옳을지도 모른다. 중요한 것은 나와 당신이 함께 공동의 노력으로 무엇인가를 만들어가는 것이다.라는 관용의 정신을 강조했습니다. 이 관용의 정신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보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다름을 인정하면 다투게 됩니다.

    우리는 다름을 인정안하고 자기위주의 생각을 합니다.

    어릴적 부터 교육을 받은것이 생각에 박혀있는 것입니다.

    폭넓은 사고 방식과 상대방 입장을 이해 하는 법을 생각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