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
제한능력자와 그 법정대리인은 제한능력자의 일정한 행위에 대해 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으면 제한능력자와 거래한 상대방은 불안하게 된다. 즉 제한능력자와 그 법정대리인의 처분(취소권 행사 여부)에 따라 법률행위가 지속되거나 소급적으로 무효가 된다. 상대방을 보호하기 위해 상대방은 (1) 확답촉구(민법 제15조)와 (2) 철회권과 거절권(민법 제16조가 있다). 철회권과 거절권과 달리 ‘확답촉구’는 ‘확답촉구권’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그 이유는?
제한능력자와 그 법정대리인은 제한능력자의 일정한 행위에 대해 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으면 제한능력자와 거래한 상대방은 불안하게 된다. 즉 제한능력자와 그 법정대리인의 처분(취소권 행사 여부)에 따라 법률행위가 지속되거나 소급적으로 무효가 된다. 상대방을 보호하기 위해 상대방은 (1) 확답촉구(민법 제15조)와 (2) 철회권과 거절권(민법 제16조가 있다). 철회권과 거절권과 달리 ‘확답촉구’는 ‘확답촉구권’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분야 전문가 한경태변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래 규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민법 제15조(제한능력자의 상대방의 확답을 촉구할 권리) ① 제한능력자의 상대방은 제한능력자가 능력자가 된 후에 그에게 1개월 이상의 기간을 정하여 그 취소할 수 있는 행위를 추인할 것인지 여부의 확답을 촉구할 수 있다. 능력자로 된 사람이 그 기간 내에 확답을 발송하지 아니하면 그 행위를 추인한 것으로 본다.
② 제한능력자가 아직 능력자가 되지 못한 경우에는 그의 법정대리인에게 제1항의 촉구를 할 수 있고, 법정대리인이 그 정하여진 기간 내에 확답을 발송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행위를 추인한 것으로 본다.
③ 특별한 절차가 필요한 행위는 그 정하여진 기간 내에 그 절차를 밟은 확답을 발송하지 아니하면 취소한 것으로 본다.
[전문개정 2011. 3. 7.]
이상, 답변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