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8.27

방사능의 경우, 반감기가 얼마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가 배출 됨에 따라, 향후 전세계적으로 이 오염수가 다 흘러 갈텐데요

방사능으로 오염된 물의 경우 자연적으로 사라지려면 얼마나 걸리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방사능을 가진 물질의 반감기는 그 물질이 반감기 동안 무게의 절반으로 감소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나타냅니다. 각 방사성 동위 원소마다 반감기가 다르며, 이는 그 원소의 특성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몇 가지 방사성 동위 원소의 반감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우라늄-238 (U-238): 약 4.5 억 년

    2. 우라늄-235 (U-235): 약 7.04 억 년

    3. 토륨-232 (Th-232): 약 14.1 억 년

    4. 칼륨-40 (K-40): 약 1.25 억 년

    5. 방사성 탄소-14 (C-14): 약 5730 년

    이외에도 많은 방사성 동위 원소들이 있으며, 각각의 반감기가 다양합니다. 이러한 반감기 정보는 지질학, 방사선 연구, 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지구의 역사와 지질 과정, 화학 반응 등을 연구하는 데 활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방사능으로 오염된 물의 방사성 물질이 자연적으로 사라지는 시간은 그 물질의 반감기에 따라 다릅니다. 반감기는 방사성 물질의 양이 절반으로 줄어드는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값으로, 다양한 방사성 동위원소마다 다릅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서 방사성 물질 중 하나인 제1안전수 원천수의 경우, 주요 방사성 동위원소 중 하나인 세슘-137의 반감기는 약 30년입니다. 따라서 세슘-137이 자연적으로 절반으로 줄어드는 데는 30년이 걸립니다. 물질이 완전히 사라지기 위해서는 보통 반감기의 10배에서 20배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따라서 세슘-137의 경우 약 300년에서 600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른 방사성 동위원소들도 각각의 반감기를 가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자연적으로 사라지는 시간이 달라집니다. 방사능으로 오염된 물이 자연적으로 사라지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며, 이러한 오염 물질의 관리와 모니터링이 중요한 과제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방사능 물질은 자연적으로 붕괴하면서 방사선을 방출합니다. 방사성 물질의 반감기는 방사능이 붕괴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말합니다. 반감기가 길수록 방사능이 붕괴되는 속도가 느립니다. 후쿠시마 오염수에는 삼중수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삼중수소의 반감기는 약 12.3년입니다. 따라서, 삼중수소가 자연적으로 사라지려면 약 12.3년이 걸립니다. 그러나, 삼중수소는 물에 잘 녹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삼중수소는 바다에 유입되면, 바닷물과 함께 전 세계로 퍼지게 됩니다. 삼중수소는 바닷물에 희석되면서 방사선량이 감소하지만,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로 인해 삼중수소가 바다로 유입될 경우, 해양 생태계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삼중수소의 반감기를 고려하더라도, 후쿠시마 오염수의 영향은 수십 년, 수백 년 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 반감기는 방사성 물질의 양이 처음 양이 1/2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입니다. 물질마다 반감기가 다릅니다. 우라늄(235)의 은 약 7억 년, 우라늄(238)은 약 45억 년, 탄소(14)는 약 5700년, 요즘 한창 핫한 삼중수소는 약 12.3년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방사능 오염수가 정화되려면 걸리는 시간은 방사성 물질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다르며, 정화 방법에 따라 다르나, 대체로 방사능 오염수를 정화하는 데는 수십 년에서 수백 년이 걸릴 수 있다고 합니다.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방사능 물질에 대해서 많이 조심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방사능 물질이 여러가지가 있지만

    스트론튬은 28년이고 요오드129는 1570만년입니다.

    플루토늄94는 88년이라고 하니 참으로 무섭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후쿠시마 핵오염수를 방출했는데요. 이 핵오염수중에 가장 인체에 위험한 물질은 세슘-137이라는 방사성 동위원소가 가장 위험합니다. 이 세슘-137의 반감기는 37년이라고 합니다. 반감기는 방사성 동위원소의 양이 반으로 줄어드는 기간을 말하는데요. 우리가 오염수로 세슘-137 100g 섭취하면 37년이 지나서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몸에서 37년 뒤에 50g 74년 뒤에 25g이 남아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방사능 물질은 인체에서 세포 내 DNA를 파괴하여 돌연변이, 세포파괴, 암등을 유발하여서 더욱 위험한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7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라늄-238의 반감기는 약 45억 년이고, 플루토늄-239의 반감기는 약 2만 4천년입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아이오딘-131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의 반감기는 약 8일 정도로 매우 짧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반감기는 각 방사성 물질마다 다르며, 물질의 종류에 따라 수 초에서 수 백만 년까지 다양합니다. 예를 들어, 우라늄-238의 반감기는 약 4.5억 년이며, 방사성 동위원소인 탄소-14의 반감기는 약 5730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