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는 언제쯤 나스닥 처럼 우 상향할 수 있을까요?
개인적으로 이러한 질문이 생각납니다.
코스피는 언제쯤 나스닥 처럼 우 상향할 수 있을까요?
이러한 것에 대해서 전문가님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현재보다 더 적극적으로 주주환원 등이
있어야 할 것이며 지배구조 등의 문제 해결 등이
있어야 우상향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글쎄요. 너무 난이도가 높은 질문이네요 ^^
코스피가 나스닥 대비 퍼포먼스가 나오지 않는 이유는 매우 복합적이라고 생각 합니다.
현재 금투세와 같은 정부 규제 이슈, 빅테크 기업의 부재, 그리고 오래 동안 고쳐지지 않는 대기업들의 후진적 경영체제, 주주를 생각하지 않는 낮은 주주환원율 이런것들이 종합적으로 개선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코스피는 언제쯤 나스닥 처럼 우상향하는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쉽지만 일반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해소
남북 관계의 진전 등이 선행 되어야지
우리도 우상향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주 간단합니다 나스닥에 어떤 종목들이 있지요 애플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 그런데 말입니다 우리나라의 저런 기업들이 있나요 저런 실력을 갖춘 기업들이 있는가 물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스피가 나스닥처럼 지속적인 우상향 흐름을 보이기 위해서는 여러 요인들이 개선되어야 합니다. 한국 경제의 구조적 변화와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가 필요합니다. 특히 반도체, 배터리, 바이오 등 미래 성장 산업에서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중요합니다. 또한 기업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 친화적 정책 도입을 통해 기업 가치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와 함께 정부의 규제 완화와 혁신 기업 육성 정책도 코스피의 상승을 뒷받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코스피와 나스닥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어 단순 비교는 어렵습니다. 나스닥은 기술주 중심의 지수로,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는 대형 기술기업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반면 코스피는 제조업 중심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 글로벌 경기 변동에 더 민감한 편입니다. 따라서 코스피가 나스닥과 같은 상승세를 보이기 위해서는 한국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함께 국내 주식시장의 구조적 변화가 동반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는 장기적인 과정이 될 수 있으며, 정확한 시기를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코스피가 우상향하려면 반도체와 2차전지가 상승해야 합니다.
반도체 사이클과 2차전지의 전기차가 상승하는 사이클이 겹쳐졌을때 코스피가 상승할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코스피의 경우 코리아디스카운트가 해소되지 않으면 미국 증시처럼 꾸준히 우상향하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오너일가 경영에서 전문 경영인 체제로의 전환, 개인투자자들에게 비협조적인 거래 시스템 및 제도 개선, 주주환원 정책의 활성화 등이 시행되어야 코스피도 가치를 인정받아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여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스피가 미국 증시처럼 꾸준히 우상향하는거는 현재 우리나라 상황으로 봐서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미국장 국장 반반 하지만 국장 수익률은 처참하네요
지정학적 리스크를 떠나서 과도한 계열사 쪼개기 상장에 주주친화적인 정책이라곤 찾아볼수 없는 국내증시는 단타대응만 하는게 맞는거라는 생각이 요즘들어 더 강해지네요
게다가 우리나라 대표기업 삼성전자까지 휘청이니 답이 없는거 같습니다
요즘 국내 주식시장은 너무 어렵습니다 저도 수익률이 안좋아서 답답하네요
질문자님은 부디 대응 잘하셔서 큰 수익 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