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룡의 후예라고 볼 수 있는 동물이 있나요?
조류는 보통 공룡의 후예라고 알려져 있고, 유전적인 특성도 과학적으로 검증되었다고 하는데요. 공룡이 살던 시절에 같이 살던 익룡에게도 현재 후예라고 할 만한 동물이 있나요?
익룡의 직접적인 후손이라고 볼 수 있는 동물은 없습니다.
그러나 익룡과 공룡은 모두 지배파충류에 속하며, 공룡 중에서는 조류가 직접적인 후손이라 할 수 있죠. 따라서, 익룡의 친척 후손이라고 할 수 있는 동물은 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공룡과 익룡이 공통의 조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후손들이 각각 다른 방향으로 진화한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생명과학전문가 이상현입니다.
익룡은 사실 공룡보다는 날아다닐 수 있는 파충류라고 볼 수 있다고 합니다.
특징으로는 새와같이 뼈의 속이 비어있고 가볍다는것이고 깃털대신 피부와 비막으로 이루어져 날개짓하기 좋은 신체구조를 가졌다고 합니다.
익룡은 다른 공룡과달리 현존하는 후손이 따로 없고, 현생조류들은 익룡보다는 수각류의 후손에 가깝다고 합니다.익룡이라는 명확한 개념은 없으며, 공룡과 함께 살았던 동물들 중에서 현재까지 이어져 온 후손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현재의 조류들이 모두 익룡의 후손일 것입니다.
익룡은 트라이아스기에 출현하여 중생대 기간 번성하였는데, 트라이아스기에서 쥐라기에는 비교적 작은 체구와 이빨, 긴 꼬리의 롱코그나타류가 번성했고 쥐라기 후기에서 백악기 말기까지는 비교적 중대형 체구, 치아 없는 부리, 꼬리가 없거나 있어도 짧은 프테로탁틸루스아목이 번성했으며 백악기 말기에는 케찰코아틀루스처럼 지구 역사상 비행동물 중 제일 크고 아름다운 익룡도 출현했습니다. 익룡은 공룡을 멸종시킨 대멸종으로 수장룡, 모사사우루스류와 함께 지구상에서 절멸됐었습니다. 따라서 익룡의 후손인 생명체는 없으며 익룡의 생태적 지위는 조류, 박쥐가 대체했습니다.
현재까지 익룡의 직접적인 후손으로 여겨지는 동물은 없습니다. 하지만 조류가 익룡과 가장 가까운 생물학적 연관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