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요리조리마수리346
요리조리마수리34623.08.23

구름은 어떻게 형태를 유지하며 둥둥 떠다닐 수 있는건가요?

질문이 모호할것 같아 구체적으로 말씀드리자면, 하늘을 보고 있는데 마침 비가 많이 내리고 있어서 구름이 굉장히 많이 떠있습니다. 그런데 구름이 뭉쳐서 둥실둥실 바람을 타고 흘러가더라구요. 이렇듯 모양이나 높낮이에 급격한 변화,변동이 없이 형태를 어떻게 유지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구름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하여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형성되는 현상입니다. 이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은 대기 중에서 둥둥 떠다닐 수 있는 이유는 대기 중의 공기와의 상호작용과 기상 조건에 의해 결정됩니다.

    구름이 형성되고 둥둥 떠다니는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부력: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은 공기와 상호작용하여 부력을 받습니다. 부력은 물체가 액체나 기체 중에서 상승하는 힘을 말하며, 구름 내부의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부력을 받아서 떠다닐 수 있게 됩니다.

    2. 기상 조건: 대기 중의 기상 조건이 구름의 형태와 떠다니는 정도에 영향을 줍니다. 예를 들어, 고도와 온도에 따라 구름의 종류가 다양하게 형성되며, 바람의 세기에 따라 구름의 이동 속도가 결정됩니다.

    3. 물방울과 얼음 결정의 크기: 구름 내의 물방울과 얼음 결정의 크기는 떠다니는 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은 공기와의 상호작용이 더 민감하여 더 쉽게 부력을 받아 떠다닐 수 있습니다.

    4. 수증기 양과 포화도: 구름 내의 수증기 양과 대기의 상대습도는 구름의 형성과 유지에 영향을 미칩니다. 수증기 양이 늘어나면 구름이 더 많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구름이 둥둥 떠다니는 것은 부력과 기상 조건, 물방울과 얼음 결정의 특성 등 여러 요인이 결합하여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만들어집니다. 수증기는 공기 중의 온도가 내려가면 응결합니다. 구름은 공기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다양한 모양을 나타냅니다. 구름이 뭉쳐서 둥실둥실 바람을 타고 흘러가는 이유는 구름의 무게가 가볍기 때문입니다. 구름은 공기보다 가벼워서 공기의 흐름에 따라 움직입니다. 구름의 모양이나 높낮이는 바람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 변화합니다. 구름의 모양이나 높낮이에 급격한 변화,변동이 없이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는 구름의 내부에는 작은 물방울과 얼음 결정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작은 물방울과 얼음 결정은 공기와의 마찰에 의해 구름의 모양을 유지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대기 중에서 가벼운 입자들이 모여 형성되기 때문에 부력을 가지게 됩니다. 부력은 구름을 위로 떠오르게 하는 힘으로 작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증발하는 수증기의 상승기류를 받기도하고 주변 공기의 영향을받아 공중에 머무를 수 있습니다.

    상승기류의 세기나 반경, 크기에따라 구름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기도하고 수증기 양에따라서나 주변 기단영향에따라서도 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