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생명체 내에서 R form과 S form의 약물이 서로 다른 효과를 내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1950년대에 독일에서 개발되었던 입덧 방지제인 탈리도마이드는 R형은 체내에서 제대로 기능을 수행하지만, S형은 기형아를 만들 수 있다고 하던데요, 어떻게 서로 다른 효과를 내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탈리도마이드의 R 형과 S 형이라고 하는 것은 동일한 물질이지만, 분자식은 동일하지만 이러한 분자가 공간내에서 다른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거울상 이성질체 라는 단어로 표현 합니다.
탈리도마이드와 같은 분자들은 R 형과 S 형이 손과 같은 거울상 처럼 보이게 됩니다. 거울로 보면 똑같지만 실제로 보면 반대로 만들어져 있죠
장갑도 왼손과 오른손이 다르듯이 탈리도마이드 R형과 S 형은 채내에서 다른 효소들과 결합을 하기 때문입니다.
최초에는 이성질체라 동일할거라 생각했지만 R 형은 문제가 없었지만 S 형은 기형아를 유발하였기에 문제가 되었던 것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