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비오는날 우산
비오는날 우산

올해 미국 금리 인하 가능성이 있을까요?

성별
남성

작년 7월 이후 미국 기준 금리가 5.5%로 계속 동결만 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한국 기준 금리도 떨어지지 않고 있는데, 앞으로 금리 전망은 어떻게 흘러 갈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현재로서는 미국의 CPI지수가 재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보니 금리인하에 대한 전망을 연준에서는 올해 없을 것이라는 이야기를 했어요. 하지만 원유 가격이 급락을 하는 모습과 미국의 경기침체 징조가 조금씩 보이고 있어 올해 연말쯤 1차례 정도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요

  • 예 일단 근거는 미국의 기준금리를 정하는 연준의 결정을 예측하는 곳이 있습니다 미국 시카고 선물거래소의 페드워치라는 곳인데 이곳에서 채권 트레이더들이 예측하기를 올해 연말쯤 한번 금리인하를 할것으로 보고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 현재까지 발표되고 있는 미국의 경제지표로는 기준금리를 올해 인하는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이 많습니다

    • 다만 가장 최근에 발표된 고용지표가 좋지 못했기 때문에 미국의 경기가 침체로 진입하게 되면 금리를

      내릴 것이라는 기대가 올라가고 있습니다

    • 또한 올해 미국의 대선이 있기 때문에 금리인하의 가능성은 더 높습니다

    • 따라서 올해 1~2회의 금리인하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4%대 진입은 어려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국과 각국의 정부는 팬데믹 이후 시중에 많은 양의 현금을 풀었는데요

    그로인해 물가 상승을 피하기 어려웠죠.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각 국의 중앙은행은 금리 인상을 진행했는데요. 물가 안정이 가시화 되는 시점에는 금리를 낮추어 경기가 침체되지 않도록 조절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많은 금융전문가들은 미국 금리인하 시기를 올해내에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으나

    도중이 물가 상승이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이슈(유가 상승 등)이 있으면 금리 인하를 연내에 하기 어려울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ed)는 경제 상황에 따라 금리를 조절하는데, 올해에도 금리 인하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올해 하반기에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 질문하신 미국의 기준 금리 인하가 가능할지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준의장인 제롬파월은 이제 고용지표에 더 많은 관심을 두겠다고 합니다.

    즉, 물가 상승이 어느 정도 완화되거나 내리고, 고용지표에서 긍정적인 신호를 보면

    금리를 내릴 가능성도 충분히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2024년 11월에 미국 대선이 있기 때문에 이것이 변수로 작용햘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 작년까지 꾸준히 미국금리가 상승하고 올해는 유지되고 있는 상황인데, 대부분의 전문가가 올해 하반기에 금리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인플레이션 등이 잡히지 않으면 유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 1~2회 정도는 가능성이 있습니다만, 정확한 것은 그때 가서 CPI나 PCE, PPI 등의 경제 지표를 봐야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현재로써는 연준의 올해 금리인하의 횟수가 줄어들 것은 거의 틀림 없는 사실로 보이긴 합니다.

  • 올해 3분기 내에 미국의 금리인하는 힘들 수도 있겠습니다만 아무래도 연내 중에 1번 정도는 금리인하를 할 가능성도 상당하다고 보여지나 조금 더 흐름을 지켜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 이번 발표에서 목표치(인플레)는 왔으나 당분간은 울통불퉁할 것이다 라는 표현을 했다고 합니다

    2-3개월 중동전쟁등 국내외상황을 두고 본뒤 결정할 것으로 해석이 되고있습니다

    다들 하반기부터는 하겠지 인하겠지 하지만 우선 2-3개월은 지켜봐야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