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활발한매사촌175
활발한매사촌17521.04.19

섬유 무역 및 국내생산에 대한 전망이 궁금해요

현재 섬유 무역관련하여 국내 섬유 생산 전망에 대하여 알고싶습니다

현재 해외 중국 및 베트남 등등의 나라에서 대부분의 생산을 하고있는 상황이고 해외생산국에서의 capa가 여의치 않은 order들이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 국내 섬유생산의 생명력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섬유생산의 경우 2011년 49.4조원을 정점으로, 원자재 가격하락에 따른 제품 단가하락, 해외 이전 등의 영향으로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또한, 노동집약적 산업인 관계로 인건비 상승 등으로 국내에서 단가가 맞지 않아 해외생산이 주를 이루고 있는 등 어려움에 봉착한 상황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어려운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고부가가치인 친환경 섬유소재 개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산업혁신 등이 수반되어야 국내 섬유산업이 한단계 도약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산업자원통상부에서 2020년에 발표한 '섬유패션산업 한국판 뉴딜 실행전략'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국내 섬유산업은 지속적인 인건비 및 생산비의 증가와 생산설비의 과잉 등 고비용·저효율 구조 로 인하여 생산기지의 해외 이전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서 국내 섬유 생산은 기술과 디자인을 접목한 고부가제품 생산체제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그 중 섬유산업의 가장 중추적인 성장동력은 산업용섬유와 패션의류입니다. 산업용섬유의 경우 산업자재의 경량화, 고기능화, 다양화 추세에 따른 용도의 확대 및 수요 증가로 지난 10년간 생산비 중이 9.4%에서 18.8%로 높아졌습니다. 의류는 중국 등 중저가 의류의 수입 급증에도 불구하고 내수 패션브랜드 의류를 중심으로 패션화·고급화하면 서 점차 생산비중을 높여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19에 의하여 우리나라 섬유 수출이 작년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110억 달러, 전년 대비 15.2% 감소한 수준)

    한국무역협회에서는 "2021년에는산업용·친환경 섬유의 글로벌 수요 증가, 중국 등의 내수 부양정책, 마스크 수출 호조 등이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산업연구원(KIET) 전망도 비슷한데, 산업연구원은 지난해 기저효과로 올해 수출이 8.6%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국내 섬유 생산 기반 약화, 글로벌 경쟁 심화 등으로 섬유 생산은 1% 정도 늘어나고 내수는 1.6%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분석했다고 합니다.

    결국 섬유 산업 자체가 인건비가 저렴한 제3국에 생산기지를 많이 두고 있다보니 국내 섬유업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따라서 신 섬유 개발 등 투자, FTA 관세혜택에 따른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 구축, RCEP 등 MEGA FTA 발효를 통한 글로벌 비즈니스 확대의 전략 등 다방면에서의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