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4.03.27

기저효과가 일종의 착시현상이라던데 이런 현상이 왜 일어나는 걸까요?

기자효과가 특정한 시점에서의 경제상황을

평가할 때 비교의 기준으로 삼는 기준에 따라

경제현상을 달리 해석한다고 하던데요.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 알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호황기의 경제상황을 기준시점으로 현재의 경제상황을 비교할 경우 경제지표는 실제 상황보다 위축되게 나타나고 불황기의 경제상황을 기준시점으로 비교하면 경제지표가 실제보다 부풀려져 나타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저효과라고 하는 것은 전년 같은 기간에 발생한 인플레이션이 너무 높은 경우에는 올해의 인플레이션은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낮게 상승한 것처럼 느낄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령,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소비를 뒤로 미룬 코로나19 판데믹 기간이 가장 좋은 예가 될 수 있습니다. 엔데믹 이후 해외 여행 수요가 폭증한 것은 기저효과 때문입니다. 문제는 해당 기저효과로 증가한 수요가 일상적인 수요인지에 대해서는 충분한 시간이 지나서 알 수 있습니다. 자칫 초과 수요에 맞춰서 투자를 하는 경우 낭패를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 또한 코로나19 기간에 과잉 투자된 마스크 제조업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저효과는 글로벌 위기 및 자연재해 등으로 인하여 경제지표의 편차를 일으켜 수치에 변화를 주어 영향을 받기도 하며 통화의 변동성에 의하여 발생하기도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어떤 시점이나 지표를 기준으로 삼을지 결정하는 것은 주관적이고 임의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구자나 정책 결정자의 입장, 목적, 혹은 선호에 따라 기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 가능한 데이터나 지표가 한정되어 있거나, 측정 방법이나 정의가 다를 경우에도 기저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같은 경제 현상이라도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