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사회성은 언제부터 발달하기 시작하나요?
4살 정도면 아직 주변 친구들에게 관심이 없고
혼자 노는것에 몰두하는 것이 정상이라고볼 수 있을까요?
주변을 인식하고 또래와 어울리는 것은 언제부터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만2세의 사회성발달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이 시기 아이들은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며 다른 사람들과 함께 놀이하고 상호 작용하려고 시도합니다. 또한 사회적 규칙과 기대에 대해 조금씩 이해하기 시작합니다. 만2세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발전시켜 나갑니다. 또한 공유와 협력의 개념을 이해하고 자기 독립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 시기에는 사회적 인 플레이와 협력적인 활동을 통해 소규모 그룹 활동을 즐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사회성 발달은 각 아이의 성격과 경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이를 존중하며 적절한 사회적 지도와 지원을 제공해야 합니다.
이 시기에는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시도하는 시기로
또래와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환경을 마련해주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첫 사회성은 부모와의 관계이고, 본격적인 사회성은 부모를 벗어난 36개월 이후부터 발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통상적으로 알려져있는 사회성이라는건 아기가 태어나자마자 본능적으로 발달하게 되는데요. 다만, 진정한 의미의 사회성은 보통 아이의 언어가 발달하며 어린이집 등에서 또래와 어울리는 시간을 많이 가지게 되는 만 3세부터는 발달이 되기 시작합니다. 그때 사회적 태도를 익히는 능력이 생기면서 교류가 자연스러워지는데요.
상대의 호감을 얻기 위해 노력하고, 남을 배려할 줄 알게 되며 상호작용이 활발해집니다. 부모님과 함께하는 여러가지 유의한 다양한 체험활동과 놀이활동이 중요한 영향을 주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4세면 혼자노는아이들도종종있답니다
사회성은 어느정도교육에됨에따라다를수있고 아직은 걱정할정돈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4살이면 개월수에 따라서 아이가 아직 사회적인관계에신경을쓰지 않을수있으며 보편적으로 5세정도가 되어야지
어느정도 친구나 다른 관계에 관심을 가질수있을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자아가 생기고 주변 아이들과 어울리는 시기라고 합니다.
보통은 3-4세 시기라고 합니다. 이시기에 아이에게 다양한 경험과 활동을
통해 사회성을 높여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사회성은 3살 정도면 생길 수 있답니다.
상대방의 감정을 읽을 수 있고, 서로 어울릴 수 있게 되면 사회성이 발달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4살 정도면 사회성이 발달합니다
엄마, 아빠와 함께만 있었는데, 어느새 커서 어린이집에 다니게 되면서부터 친구를 알게 되므로써 같이 어울리며 타인의 마음에 공감을 하는 사회성이 발달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만4세정도에는 게임을 하는 방법에 대해 다른 아이와 이야기를 나누고 적극적으로 어울리려고 합니다. 시키지 않아도 아는 사람을 보면 인사를 하고 친구에게 자기집에 와서 같이 놀자고 제안을 할수도 있고 조금 더 빠른 아이는 자신의 실수에 대해 미안하다고 사과를 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또래와 상호작용이 시작되는 시기는 만3세경 입니다.
지금 아이가 혼자놀이를 하는 이유는 친구와 놀이를 하는 방법을 알지 못하거나, 혼자놀이를 해도 전혀 심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혼자놀이를 너무 즐기면 사회성 발달이 되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역할극을 통해서 또래와 상호작용을 하는 방법을 알려주시면 좋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