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화폐정책에서 화폐유통의 한계점과 고리대의 성행이 어떤 폐단을 가져왔나요?
고려시대 화폐를 주조했는데 이런 화폐의 유통이 어떤 한계점을 가져왔는지 궁금해요. 그리고 고리대가 성행하고 보가 출현했다고 하는데 고리대가 성행한 후 어떤 폐단이 나왔는지 아시는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전의 주조, 유통을 시도하기 시작한 숙동연간에 국인이 처음으로 용전의 이로움을 알게 되었다고 하는 기록이 있으나 각종 동전 역시 국내에 유입된 중국화폐 및 철전 등이 그랬듯 통용범위가 극히 한정되어있었고 실용가치가 전제된 쌀, 베 등 물품화폐에 구푹되어 화폐로서의 구실을 제대로 할수 없었습니다.
고려시대 불교가 왕실과 귀족으로부터 적극적인 비호를 받아 사원은 경제적으로 막대한 재화를 축적했고 이에 사원에서 잉여재화를 자본으로 하며 민간경제의 유통을 기하는 동시에 사원 자체의 경제적 발전을 도모하고자 장생고를 설치했습니다.
불교계의 폐해가 크게 노출되는 중기 이후 본래의 의도에서 벗어나 이윤의 추구만을 목적으로 하는 고리대로 전락했고, 불교계의 타락과 승려의 질적 저하를 초래했으며 재화축적에 집착하며 영조, 조면, 제다 등의 수익성 사업까지 하게 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종래 유통되었던 동전은 일찍부터 기능을 상실하고, 은병(銀甁)은 재료인 은의 부족과 악주(惡鑄)의 주조, 도주행위(盜鑄行爲)로 말미암아 가치가 하락하고, 또 현물과의 등가도 높이 형성됨에 따라 일반민에게는 도움도 주지 못하였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화폐 유통 부진 큰 이유는 자급자족 사회이기 때문입니다.
건원중보, 주전도감 설치, 활구, 삼한통보, 저화 등 많은 화폐가 사용되었으나 물물 교환이 더 중요한 시대로 돈의 기능과 쓰임에 무지했습니다.
고리대 성행으로 보 출현해 기금을 만들어 이자로 경비 충당하려고 하였으나, 권문세족과 승려 타락으로 백성들의 삶은 고통이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