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속 물건들이 굴절되는 이유는?
유리 잔에 물을 넣고 빨대 같은 것을 넣어 보면 올곧게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꺾여서 보이더라구요. 왜 물 속에서 물건들이 굴절되는 것인가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 빛은 통과하는 매질이 변하게 되면 매질의 밀도 변화에 따라서 속도도 변화하고 빛의 방향도 바뀌는 굴절이 발생하게 됩니다. 빛은 진공에서 초속 30만km의 속도로 진행하지만, 공기중에서는 속도가 약간 느려지고, 물속에서는 속도가 약 1/4 감소합니다. 이와 같이 빛의 속도에 변화가 일어나는 새로운 매질로 빛이 들어갈 때 빛의 입사각도에 따라서 진행방향이 바뀌게 됩니다. 따라서 빛이 공기중에서 물속으로 들어갈 때, 반사되어 다시 물속에 공기중으로 나올 때 모두 굴절이 발생해서 물속 물체가 더 크거나 가깝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 빛의 굴절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 물과 공기의 매질이 다르기때문에 - 빛이 공기를 지나 물을 통과할때 방향이 꺾이게 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 빛이 공기 중에서 물이나 유리와 같은 다른 매질로 들어가게 되면,매질의 경계면에서 일부는 반사의 법칙에 따라서, 입사각과 같은 각으로 반사되고,매질 속으로 들어간 빛은 속도가 느려져 진행 방향보다 더 아래로 꺾이게 됩니다. - 이때 굴절되어 들어가는 빛이 법선(수직선)과 이루는 각은 굴절각이라고 하는데,굴절률이 클수록 꺾이는 정도는 커지고, 굴절각은 작아집니다. - 우리가 물체를 볼 수 있는 것은 그 물체에 반사되어 나오는 빛이 우리 눈에들어오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물속에 있는 물체의 모습을 보게 되는 것역시, 그 물체에 반사되어 물속에서 공기 중으로 나오는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 그런데 공기 중에서 물속으로 들어가는 빛이 아래쪽으로 꺾이는 것처럼,물속에서 공기 중으로 나오는 빛도 들어간 경로와 같은 선을 그리며, 수면에서 꺾인 상태로 진행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 빛의 굴절 때문 이죠 - 빛의 굴절 : 빛이 투명체에서 다른 투명체로 들어갈때 빽빽함의 차이가 속도의 차이를 가져오기 때문에 두 물질의 경계면에서 방향이 꺾이게 되는데 이게 바로 빛의 굴절입니돵. - 그래서 꺾여보이는 거에요 
- 물이 들어 있는 컵에 막대를 비스듬히 넣으면 막대가 꺾인 것처럼 보이고, 물속에 발을 담그고 있으면 원래보다 짧은 것처럼 보입니다. 또 물에 반쯤 잠긴 곰의 모습은 물의 경계면 위쪽보다 아래쪽이 실제보다 크게 보입니다. 이것은 모두 빛이 굴절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 빛의 특징입니다. - 빛은 파장이고, 파장은 매질이 바뀌면 속도가 변하게 됩니다. - 공기라는 매질에서 물이라는 매질로 변경되어 파장이 바뀌어서 굴절이 발생하게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