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머쓱한바위새27
머쓱한바위새2723.04.30

어렿을 적에 반드시 제2외국어를 교육시키는게 좋은가요?

어른이 된 저로서는 어렿을 때 영어와 같은 외국어를 같이 말하면서 교육시키는게 커서 큰 도움이 된다는 걸 알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오히려 모국어와 제2외국어 모두 능숙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고 하는데 어느게 맞는 말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경우에 따라 다르고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모국어 발달이 중심이 되는 언어환경을 조성해주시고 영어는 거부감이 없을 정도로만 노출해주셔도 충분합니다. 만 8세 모국어 실력도 높고 언어를 담당하는 뇌의 발달로 언어 능력이 올라왔을 때 외국어를 시작해도 늦지 않습니다.

    따라서 한국어 실력을 잘 키울 수 있게 다량의 그림책을 접하게 해주시고 다양한 주제로 대화를 나눠주시기 바랍니다. 단, 영어 소리가 익숙할 수 있도록 영어노래나 영상은 꾸준히 노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모국어와 제2외국어 모두 능숙하지 못하게 될 것 이라는 의미는 한글을 완벽히 깨우쳐야 된다고는 의미 입니다.

    아이 제 2외국어 가리키는 시기는 6~7세가 좋을 것 같습니다.

    그 전에 알아둘 것은 외국어를 습득하게 하실려면 모국어가 완벽하게 이해 되어야 하고, 한글을 다 떼었을 때 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이가 관심을 보이고 흥미를 보일 때 가르키는 것이 학습의 효과를 더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01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렸을 때부터 외국어를 배우는 것도 좋지만 우선 모국어를 완전히 깨우친 후에 외국어를 배우는 것이 아이가 혼란도 덜 오고 완전하게 습득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미 알고계시고 말씀하신것처럼 너무 어린 단계에서 영어를 배우는 것은 별로 좋지 않다고 생각이 드네요


    아이가 우선 한글을 떼고 난 후에 영어를 가르치는 것이 아이언어에 혼란을 주지않아 그 후에 가르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중 언어 구사자의 문화적 장점은 두 가지 이상의 세계를 경험하는 것입니다.

    이중 언어 구사는 두 가지 이상의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두 언어를 구사한다는 것은 보다 광범위한 문화의 경험, 차이에 대한 보다 많은

    포용력을 준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외국어 공부에 대해 고민하고 계시는군요

    되도록 만 2세가 될 때까지는 한글 교육에 집중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만 2세 경이 되어서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이 잘 되었을 때 그 때 외국어를 시키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모국어를 배우는 과정에 외국어를 같이 공부를 하게 되면 아이 스스로가 혼동이 될 수 있으니

    어느 정도 모국어를 익힌 후에 외국어를 자연스럽게 노출 시키고

    아이가 외국어에 관심을 가질 때 그 때 교육을 시키면 될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모국어 발달이 안정적이게 된 후에는 제2외국어를 해주셔도 무방할수있습니다.

    모국어를 하면서 제2회국어를 하는것도 나쁜것은 아니나 집에서 이러한 언어(제2외국어)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언어적으로 혼동이 올수있을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