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소탈한부전나비84
소탈한부전나비84

지역사회의료에 대한 책 추천 부탁드릴게요~

성별
남성
나이대
33
기저질환
복용중인 약

지역사회 의료에 대한 책 추천 부탁드릴게요~

마땅히 사실 관계 있는 거 필요없고요.

그렇게 된 이유와 원인, 배경 등이 자세하게 나온 책으로 부탁드릴게요.

내용을 확인해야 하니, 책 내용도 사진 찍어 주세요.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개념의료라는 책이 의료시스템이 어떻게 이렇게 만들어졌는데 (박정희 시절 첫 의료보험부터) 어떻게 한국만의 의료시스템이 탄생했는지 잘 설명하는 좋은책입니다.

    사진은 못찍었네요

  • 원서를 보실수 있으면 다음 책을 추천드립니다.

    • "An Introduction to Community and Primary Health Care"
      저자: Diana Guzys, Rhonda Brown, Elizabeth Halcomb, Dean Whitehead
      출판사: Cambridge University Press
      이 책은 지역사회와 일차 의료의 이론과 실습을 다룬 포괄적인 교재입니다. 책은 주로 호주와 뉴질랜드의 의료 시스템을 배경으로 하지만, 다양한 국제 사례와 연구 결과를 포함하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적용 가능한 내용을 다룹니다. 책의 주요 내용은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정치적 요인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며, 건강 증진, 질병 예방, 초기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각 장에는 사례 연구와 비판적 사고를 촉진하는 질문들이 포함되어 있어 독자가 실무에 이론을 적용하고 자신의 실천을 반성할 수 있게 합니다

      https://www.cambridge.org/highereducation/books/an-introduction-to-community-and-primary-health-care/75454A7D237688B22121B495DD2FB79D#overview

    • "Creating Community Health: Interventions for Sustainable Healthcare"
      출판사: Taylor & Francis
      이 책은 지역사회 기반의 건강 관리 개입이 어떻게 건강 서비스와 자발적 부문 간의 격차를 메우고 지속 가능한 건강한 커뮤니티를 창출할 수 있는지를 탐구합니다. 기술 중심의 의료 접근 방식을 넘어서 사회적 처방과 같은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지역사회 건강 증진의 직접적인 경로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책은 실질적인 개입 전략과 성공 사례를 통해 지역사회 건강 관리의 효과와 중요성을 강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