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상은 언제까지 계속 될까요?

연준에서 자이언트스탭을 4차례나 진행하면서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데요

2008년에 기준금리 5%가 최대 였던걸로 아는데 이번엔 언제까지 오를까요? 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번에도 약 5%전후가 미국의 최종목표금리로 보고 있습니다.

    다만, 이는 인플레이션이 어느정도 잡히기 시작하였을 때의 시나리오이며, 인플레이션이 잡히지 않는 경우에는 노동시장이 견조하다면 추가상승의 여력이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금리인상 지표는 아래의 사이트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s://www.bok.or.kr/portal/singl/baseRate/progress.do?dataSeCd=01&menuNo=200656

    현재 물가안정을 위한 금리인상 정책이 지속되고 있는데, 과거와 단순비교는 어렵지만 전문가들은 4%대까지는 금리가 인상되지 않을까라는 예상이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

    물가가 계속상승하고 안정되지 않는다면, 내년 상반기정도까지는 지속적인 금리인상정책이 유지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어제 0.75%의 자이언트 스텝을 4번 연속 진행한 미연준은 물가 상승이 지금처럼 지속되는 한 금리 인상을 멈추지 않겠다고 공언했습니다. 현재 4%의 기준 금리는 올해 마지막 연준의 FOMC 회의가 열리는 12월에도 올릴 가능성이 있고 내년에도 점진적으로 인상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내년 초까지는 금리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예정입니다.

    • 특히나 미국에서 약 5%까지는 인상할 계획이 있다고 발표한 만큼 앞으로 금리가 쉽게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은 어려워 보입니다.

    • 우리나라는 미국보다 금리 인상시기가 조금 더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미간 금리차이가 벌어지면

      환율이 폭등하여 외환시장의 위험을 증가시키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경험했기 때문에 어느정도 리세션(경기침체)의 우려가 보이게 되면 금리를 동결하거나, 인하할 것이라는 시그널을 시장에 주어 침체를 막고자 할 것입니다. 즉, 금리라는 것을 아무리 미국 연준도 마냥 올리지는 못한다는 점 아셔야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3년도 상반기까지는 물가가 잡히지 않는

    현재의 흐름과 더불어서

    미국 연준의 기조에 따라서 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이

    높아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 FOMC에서 발표하는 내용을 본다면 올해말까지 4.75%가 어느정도 합의된 사항이고 12월 FOMC때 5%까지 상승한다면 2023년 상반기에는 금리가 하락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