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은카이
은카이23.04.06

담배의 기원은 언제 어디서 부터였나요?

담배의 시작이 어디부터였는지 기원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언제부터 담배가 시작되었는지도 궁금합니다. 답변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06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마약으로서의 담배는 술보다는 역사가 일천하지만 오랜 과거부터 존재했다고 합니다.
    서기 7세기경 마야 신전의 벽에, 이미 제사장이 담배를 피우는 그림이 묘사되어 있으며, 담배에 대해 말할 때 담뱃잎을 피운다는 개념을 떠나서 어떤 종류든 풀이나 약초 등에 불을 붙여 연기를 빨아들이는 '흡연' 문화는 기원전에도 인류 곳곳에 존재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우리나라는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부터 고추, 호박 등과 함께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당시엔 남령초, 연다(煙茶), 연주(煙酒), 담박괴, 담파구, 담바구 등 다양하게 불렸다고합니다. 현재 남아있는 문헌 중 가장 오래된 담배 언급은 1614년 이수광이 펴낸 지봉유설이라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담배의 기원이 궁금하군요.

    마약으로서의 담배는 술보다는 역사가 일천하지만 오랜 과거부터 존재했다고 합니다.

    서기 7세기경 마야 신전의 벽에, 이미 제사장이 담배를 피우는 그림이 묘사되어 있습니다.

    담배에 대해 말할 때 담뱃잎을 피운다는 개념을 떠나서 어떤 종류든 풀이나 약초 등에 불을 붙여 연기를 빨아들이는 '흡연' 문화는 기원전에도 인류 곳곳에 존재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불씨라는 게 쉽게 구해지는 것이 아니라서, 사제가 있는 신전 같은 곳에서 처방받아서(불까지 붙여줘서) 피우거나 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

    흔히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주술의식에 사용하던 것을 유럽인들이 기호품화 시켰다고 알려져 있으나 신대륙 발견 이전부터 이미 남유럽에서 자생했었다는 설도 일부에서 제기됩니다.

    어쨌건 15세기~16세기 대항해시대 돌입과 함께 기호품으로 전 세계로 급속히 전파된 것은 사실입니다.

    조선에는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부터 고추, 호박 등과 함께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당시엔 남령초(南靈草), 연다(煙茶), 연주(煙酒), 담박괴(淡泊塊), 담파고(談婆姑), 담바구 등등 다양하게 불렸습니다. 현재 남아있는 문헌 중 가장 오래된 담배 언급은 1614년 이수광이 펴낸 지봉유설입니다. 그리고 여기서도 약초로 와전되어 있다(…). 서구와는 다르게 말아 피우는 시가 대신 파이프 담배라 할 수 있는 '곰방대'부터 들어왔습니다. 조선시대 담뱃대의 길이마저 반상과 권력의 차이를 반영했으며 양반님네들이 피우던 장죽이 서민들에게 넘어오면서 곰방대로 간소화되었다. 담배라는 이름은 '조끼'(jaque)나 '빵'(pão)처럼 포어 tabaco의 일본식 표기인 タバコ가 담바고로 전해진 것에서 유래되었다. 어중에 ㅁ이 추가되어 음차된 이유는 당시 일본어의 비탁음화 때문이다. 담배를 만주어로 ᡩᠠᠮᠪᠠᡤᡠ(dambagu)라고 불렀는데, 위의 기록에서 보이듯이 조선의 담배가 청나라에 유입되어 인기를 끌면서 담배의 명칭으로 조선식 발음을 받아들였기 때문입니다.

    출처: 나무위키 담배 역사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담배의 기원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없기 때문에, 그 역사를 추적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하지만, 담배의 역사는 수천 년 전부터 시작되었다고 추정됩니다.

    담배의 기원은 아메리카 대륙으로 추정되며, 이곳에서 토끼풀과 같은 식물을 말리고 구운 것을 흡연하는 것이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후에 이러한 흡연 방식이 유럽으로 전파되어 담배가 유행하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7세기 중반에 담배가 전파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에는 중국, 일본 등에서 수입된 담배가 유행하였으며, 이후에는 국내에서도 담배 생산이 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당시에는 담배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담배를 흡연하는 것이 일상적이었습니다. 이후에는 담배의 건강 위험성이 공식적으로 밝혀지면서, 담배를 흡연하는 것이 금기시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담배의 역사.유래


    담배는 콜럼버스가 미국 대륙을 발견했을 때, 쿠바에서 토인들이 피우는 것을 발견한 데서부터 유럽으로 전래되었다고 보통 말하여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 이전에 유럽에서 피웠다고 이설(異說)을 주장하는 이도 있다. 그런가 하면 인류학자 중엔 아시아에서 미국 대륙 쪽으로 전파되었던 것이라고 말하는 이도 있다.


    영어로 담배를 tabacco(터배코)라 하는데, 가까운 일본에서도 `다바코)`라고 한다. 그 어원에 대해 서인도 제도의 섬 가운데 `타바고(Tabago)`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산토도밍고 토인이 흡연에 사용하는 담뱃대를 `토바고`라 한 데서 온 것이라는 설이 있고, 또 한편으로는 멕시코 원주민들의 토어(土語)에서 왔다는 말도 있다.


    담배에 관한 우리나라 최초의 기록은 「인조실록」에 나온다. 거기에 '담배는 서기 1616~1617년에 바다를 건너 들어와 이를 복용하는 자가 간혹 있었으나 그다지 성행하진 않더니 1621~1622년에 이르러서는 복용하지 않는 사람이 거의 없었다.'고 쓰여 있다.


    지봉 이수광의 「지봉유설」에는 '담바고는 남령초라 하는데 근년에 일본에서 온 것이다'라는 기록이 있으며, 장유의 「계곡만필」에는 '담배 피우는 법은 본디 일본에서 온 것이니, 일본 사람은 이를 `담박괴`라 한다.'라 하였으며, 전래 민요에는 `담바구`라는 표기도 보인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주술의식에 사용하던

    것을 유럽인들이 기호품화 시켰다고 알려져

    있으나 신대륙 발견 이전부터 이미 남유럽에서 자생했었다는 설도 일부에서 제기된다.

    어쨌건 15세기~16세기 대항해시대 돌입과

    함께 기호품으로 전 세계로 급속히 전파된

    것은 사실이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담배는 가짓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이다. 1558년 스페인의 필리페 2세(Philip Ⅱ)가 원산지인 남아메리카 중앙부 고원 지대에서 종자를 구해 관상용·약용으로 재배하면서부터 유럽에 전파되었다. 현재는 북위 60°에서 남위 40°에 걸쳐 전 세계에서 재배하고 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담배는 가짓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인데 1558년 스페인의 필리페 2세가 원산지인 아메리카 중앙부 고원지대에서 종자를 구입해 관상용,약용으로 재배하면서 유럽에 전파가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임진왜란 직후인 16세기말~17세기초에 유럽에서 일본을 거쳐 들어온 것으로 추측이 되는데 조선 후기부터 상품화가 되었다고 합니다. 담배가 처음 유입 되었을 때 단지 약초로는 알고 있던 사람들은 차츰 기호품으로 흡연하기 시작하였고 기호품으로 널리 확산되면서 흡연에 따른 해로움을 알게 되어 흡연에 찬반 양론이 일어나기도 하였습니다. 실학자 성호 이익은 열 가지를 언급하였는데 이로운 점은 가래가 목에 걸려 떨어지지 않을 때, 비위가 거슬려 침이 흐를 때, 소화가 되지 않아 눕기가 불편할 때, 상초에 먹은 것이 걸려 식물을 토할 때, 추운 날씨에 한기를 막을 때, 이롭다고 하였고 해로운 점은 안으로 정신이 해롭고, 밖으로 눈과 귀가 해롭고, 머리칼이 희어지고, 얼굴이 창백해지며,이가 빠지고, 살이 깎이고, 사람이 노쇠해진다고 지적하면서 좀 더 심한 것으로 세 가지를 더 지적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마약으로서의 담배는 오랜 과거부터 존재했습니다.

    서기 7세기 경 마야 신전의 벽에 이미 제사장이 담배를 피우는 그림이 묘사되었고 담배에 대해 말할때 담뱃잎을 피운다는 개념을 떠나 어떤 종류든 풀이나 약초 등에 불을 붙여 연기를 빨아들이는 흡연 문화는 기원전에서도 인류 곳곳에 존재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흔히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주술의식에 사용하던 것을 유럽인들이 기호품화 시켰다고 알려져있으나 신대륙 발견 이전부터 이미 남유럽에서 자생했다는 설도 있으며 15세기 ~16세기 대항해시대 돌입과 함께 기호품으로 전 세계로 급속히 퍼졌습니다.

    우리나라 조선에는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부터 고추, 호박 등과 함께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당시 남령포 , 연다, 연주, 담박괴, 담파고, 담바구 등 다양하게 불렸으며 현재 남아있는 문헌 중 가장 오래된 담배 언급은 1614년 이수광이 펴낸 지봉유설인데

    여기에서도 약초로 와전되어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홍휴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담배는 마야인들이 종교의식으로 사용하기 위해 처음 사용됐다고 전해지며, 1492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원정을 계기로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담배의 유래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담배는 아메리카 대륙, 특히 현재의 멕시코와 중앙 아메리카 지역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담배의 사용은 아메리카 전역에 퍼졌고 결국 16세기에 스페인에 의해 유럽에 소개되었습니다. 한국 최초의 담배는 1945년 '승리'라는 담배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장수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담배는 마야인들이 종교의식으로 사용하기 위해 처음 사용됐다고 전해지며, 1492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원정을 계기로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담배 역사는 1492년 아프리카 신대륙에서 유럽을 거친 후 인도양을 건너 일본 또는 중국을 통해 우리나라로 들어왔다는 것이 통설, 담배의 기원은 여러 말이 있지만 16세기 말 임진왜란때 일본에서 도입되어 광해군 초에 담배가 재배되기 시작했습니다.


  • 인류는 수렵·채집 단계에서 이미 담배를 이용했다고 합니다. 미국의 한 고고학자가 유타주의 사막에서 발굴한 약 1만2천년 전 화덕 잔해에서 불에 탄 담배 씨앗을 찾아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 담배가 전래된 것은 임진왜란 때 일본군에 의해 건너온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계의 담배 역사는 1558년에 스페인 필리페 2세가 남아메리카 에서 종자를 구해서 재배 하는것에서 부터 시작을 하였고

    우리나라에는 정확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서 알수는 없지만 조선시대에

    담배에 관한 기록으로 보아서 조선시대 이전에 들어온것으로 알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