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검소한오징어74
검소한오징어7423.08.26

우리나라에는 언제 담배가 유입이 되었나요?

오랜역사를 지닌 담배라는 품목에 관심이 생겼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언제부터 담배가 유입되어 널리 퍼지게 된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에 담배가 유입된 시기는 임진왜란 때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 당시에는 남령초, 연다, 연주, 담박괴, 담파고, 담바구 등으로 불리었다고 합니다. 가장 오래된 담배의 언급은 1614년 이수광의 지봉유설이라고 하며 여기서 약초로 와전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에는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부터 고추, 호박 등과 함께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당시 남령초, 연다, 연주, 담박괴 등으로 불렸습니다.

    남아있는 문헌 중 가장 오래된 담배에 관한 언급은 1614년 이수광이 펴낸 지봉유설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호랑이 담배 피던 시절' 이란 말 때문에 사람들은 우리나라에 담배가 오래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착각하기가 쉬운데요.하지만 우리 나라에 담배가 들어오게 된 것은 정확한 자료는 없지만 임진왜란을 전후로 하여 서양을 통해 담배가 들어왔던 일본을 경로로 해 전파 되었다는 것이 가장 유력한 설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국가기록원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에 담배가 처음 들어 온 시기는 임진왜란 때로 보는 것이 통설이므로 17세기 초부터 민간에 퍼졌을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담배는 일본을 거쳐 들어왔거나, 중국을 내왕하던 상인들이 들여왔다고 하는데, 초기에는 남녀노소 불문하고 즐겼으며, 약초로 여기기까지 했습니다. 『조선왕조실록』에 처음 등장하는 담배에 대한 기록은 광해군 시기인 1623년 동래(東萊) 왜관(倭館)에서 발생한 화재사건이었다. 당시 화재로 왜관 80칸이 모두 타버렸는데, 왜인들이 담배를 즐겨 피우다가 담뱃불이 떨어져 화재가 난 것 같다는 기록이다.우리나라에서 궐련(卷煙)이 처음 판매된 것은 1897년 청나라 상인들이 들여온 영국상사의 ‘칼표’ 담배였고, 생산·판매된 것은 1905년 일본인에 의해 생산된 이글표(매표) 담배였다. 이후 연초회사들이 점점 늘어나며 각종 브랜드의 담배들이 시중에서 판매되다가 1945년 9월 광복을 기념하여 만든 궐련담배 ‘승리’가 출시되었다. 당시 많이 피우던 쌈지담배인 ‘풍년초’와 다르게 흰 종이에 깨끗하게 말려있는 ‘승리’는 그 자체가 부러움의 대상이 되기도 했지만, 당시 쌀 한말 가격이 45원이던 시절에 3원이나 하던 ‘승리’를 서민들이 쉽게 사서 피우기는 어려웠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태형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조선시대로 알고 있습니다. 그따부터 곰방대나 담배피는 예절등이 생겼죠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포르투칼의 타바코가 일본에 전해지고 17세기초에일본의 담바고가 일본에서 조선에 전파되어 담배가 되었습니다. 그 당시에 담배는 신분에 관계없이 피웠던 기호품이었지만 담뱃대의 길이는 신분의 높낮이를 보여줍니다. 일명 남령초라고 불리웠는데 남쪽에서 온 영험한 풀이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조선 선조 때부터 인조 때까지 명관이며 석학이었던 이수광의 '지봉유설'에 담배에 대한 이야기가 처음으로 언급되었다. 지봉유설에서 "담배 초명은 또한 남령초라고도 하는데 근세 왜국에서 비로소 나오다."라고 밝히고 있다. 또한 조선 인조 때 장유의 저서인 '계곡만필'도 일본에서 들어왔다고 전한다. 이와 같이 한국에 담배가 들어온 시기와 경로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없지만 이들 문헌에 단편적으로 나타난 기록을 종합하면 1608~1616년에 일본에서 들어왔다고 추정된다. 또한 특별한 기호품이 없었던 당시에 상하계급을 막론하고 급속히 퍼져 나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