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 상단 어금니 발치 및 임플란트 수술 후 반대편 턱관절 통증 문의
안녕하세요 제목 그대로의 질문입니다.
사건의 발단 : 올 겨울 좌측 상단 어금니는 금으로 덮혀있었습니다. 그래서 썪은지 몰랐는데,
알고보니 뿌리가 썪은 상태였습니다. 통증으로 인해 발치 후 임플란트를 결정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번달 임플란트 지주대까지 심고 마지막 본을 뜨는 작업을 앞두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제 추측이 들어갑니다
문제는 임플란트 수술직후 우측으로 열심히 씹어서 인지 턱관절쪽이라고 해야하나?
씹을때 "욱씬" ? 거리며 아프더라고요 .. 처음엔 일시적으로 아픈줄 알았는데 지금까지 간헐적으로
아프고 있습니다. 벌써 반년이 된 것 같은데 자연적으로 회복되진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 좌측 어금니가 없지만 열심히 균등하게 씹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요 며칠전부터는 귀가 먹먹하다는 느낌이 살짝 들기 시작했습니다.
완전히 먹먹한 느낌보단 살짝 먹먹하다는 느낌인데 귀를 손가락으로 막으면 귓소리가 들리듯이
귓소리가 먹먹한 느낌가운데 좀 들립니다.
혹시 턱관절에 염증이 생겼고, 그게 더 커져서 귀가 먹먹하다는 느낌을 받은것인지
추측을 해보고 있습니다.
약 2달전쯤 가정의학과 가서 말씀드리니 진통소염제? 같은걸 처방해주셔서 먹었거든요
솔직히 차도는 없었습니다..ㅠ
그 이후에는 최근에 치과에 말씀드렸는데, 진통 소염제 같은 것을 또 처방해주셨었습니다.
같은 결과 값이 나올것 같아 먹지는 않았거든요..
근본적인 치료 방법이 있을지.. 어느병원을 가야할지.. 의사쌤들 말씀대로 효과가 없는듯 해도
진통 소염제를 먹어야할지.. 선택을 하고자 또 조언을 받고자 글을 올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교합이 잘 맞지 않아서 그럴수도 있으니 대학병원으로 가셔서 보철과 및 구강내과 진료 보시는 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일단 턱관절이 안좋으면 일반 치과 보다는 대학병원 구강내과를 가셔서 턱관절 검진을 먼저 받아보시는게 좋을것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임플란트 수술을 하기 위해서 입을 크게 벌리고 있었다면 턱관절에 무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임플란트를 하고 난 다음 교합 간섭 등으로 인해서 이전과 교합이 변하게 된다면 턱관절에 위치에 변화가 생기게 되어 턱관절에 느낌이 있을 수 있습니다.
턱관절 질환이 있다면 턱관절 질환의 원인을 제거해야 합니다. 교합의 문제라면 교합을 조정해 줘야 하며 턱관절에 가해지는 힘이 강해서 생기는 턱관절 질환이라면 턱관절에 가해지는 힘을 줄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
구강내과가 진료과로 있는 치과를 가셔야 턱관절 전반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턱관절염에는 근육이완제, 소염제 등의 약처방 내지는 물리치료, 장치치료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