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억수로책임감있는라쿤
억수로책임감있는라쿤

USAG-1 항체는 유전자 발현 조절 기술인가요? / 생2 생기부 세특 질문

생명과학2에서 유전자 복제, 유전자 발현, 전서 조절 과정에 대해 배웠고, 치아 재생 신약인 USAG-1과 연관지어서 탐구 하고 싶습니다. 해당 약물이랑 GPCR과 관련지어 탐구하고 싶은데

지금 주제가 너무 막연한 것만 같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USAG-1 항체는 유전자 발현을 직접 조절하는 기술이라기보다는, USAG-1 단백질의 기능을 억제하여 특정 유전자(BMP, Wnt 등)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함으로써 치아 재생을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USAG-1은 BMP와 Wnt 신호를 억제하는 단백질이므로, USAG-1 항체가 USAG-1 단백질에 결합하여 그 기능을 막으면 BMP 및 Wnt 신호가 활성화되어 치아 발달이 촉진됩니다. 이 과정에서 GPCR(G단백질 연결 수용체)은 USAG-1의 신호 전달 경로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는 않지만, 세포 내 다른 신호 전달 체계와 연관되어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USAG-1 항체의 작용 기전은 유전자 발현 조절 기술이라기보다는 특정 단백질의 활성을 조절하여 하위 신호 전달을 변경하는 개념에 가깝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USAG-1 항체는 직접적인 유전자 발현 조절 기술은 아니지만, Wnt와 BMP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해 간접적으로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주며 치아 재생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GPCR과 직접적인 관련은 적지만 세포 내 다양한 신호전달 경로 간의 상호작용을 탐구 주제로 삼아 신약 개발과 유전자 조절의 연결 고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