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와 ETN의 차이점과 공통점이 궁금합니다
ETF와 ETN의 차이점과 공통점이 궁금합니다
경제공부하는데 ETF ETN 이 두 개가 헷갈리더라구요
사전에서는 상장지수펀드와 상장지수채권이라는데 좀 더 쉽게 자세하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ETF와 ETN과 같은 경우 가장 큰 차이점은
ETF는 만기가 없으나 ETN은 만기가 있습니다.
그리고 종목 구성상에도 ETF가 ETN에 비하여 보다 제한적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ETF(상장지수펀드)와 ETN(상장지수채권)은 둘 다 주식 시장에서 거래되는 금융 상품이지만, 구조와 특성에서 차이점이 있습니다.
공통점
거래 방식: 둘 다 주식처럼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할 수 있습니다.
지수 추종: 두 상품 모두 특정 지수나 자산군을 추종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차이점
구조:
ETF: 상장지수펀드는 투자자금을 모아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펀드가 실제 자산을 보유하며, 자산의 가치를 기반으로 NAV(순자산가치)가 결정됩니다.
ETN: 상장지수채권은 발행자가 발행한 채권으로, 지수나 자산의 성과를 추종합니다. 실제 자산을 보유하지 않으며, 발행자의 신용에 의존합니다.
신용 위험:
ETF: 펀드의 자산이 분산되어 있어 발행자의 신용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ETN: 발행자의 신용에 따라 가치가 변동할 수 있어, 발행자의 신용 위험이 존재합니다.
세금 처리:
ETF: 자산을 매도할 때 발생하는 자본 이득에 대한 세금이 부과됩니다.
ETN: 이자 소득으로 분류되며, 세금 처리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우선 공통점 부터 말씀드리면 둘 다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실시간 거래가 가능하다는 점 입니다.
차이점으로는 ETF는 자산운용사에서 발행하지만, ETN은 증권사에서 발행합니다. 또한 ETF는 실제 주식이나 채권 등의 자산을 편입하고 있어 펀드의 부도 위험이 적으나 ETN은 증권사의 신용을 기반으로 발행될 뿐 실제 자산은 없으므로, 증권사가 부도나면 원금을 받지 못할 수 있는 신용 위험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