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E지수가 뭐에요? 이거 때문에 주식시장이 왔다갔다 한다는데...
이전에는 CPI(소비자물가지수)때문에 주식시장이 오르락 내리락했습니다. 근데 최근에는 PCE지수때문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더군요. PCE는 처음듣는데 어떤거죠?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CE 지수 또는 개인 소비 지출 가격 지수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척도입니다. 많은 경제학자와 정책 입안자들은 소비자 물가 지수(CPI)보다 가격 변동에 따른 소비자 행동의 변화를 고려하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을 더 정확하게 측정한다고 생각합니다.
PCE 지수는 내구재(예: 자동차 및 가전 제품)와 비내구재(예: 식품 및 에너지)를 포함하여 가계에서 소비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을 측정합니다. 고정된 상품 및 서비스 바구니를 측정하는 CPI와 달리 PCE 지수는 가계가 소비하는 상품 및 서비스 구성의 변화와 가격이 상승할 때 소비자가 더 저렴한 대체재로 전환할 때 발생하는 대체 효과를 고려합니다.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eral Reserve)는 통화정책을 수립할 때 선호하는 인플레이션 지표로 PCE 지수를 사용합니다. 연준은 목표 인플레이션율을 2%로 설정하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통화 정책(예: 금리 설정)을 조정합니다.
최근 몇 년 동안 PCE 지수는 연준의 통화 정책 변화가 경제와 주식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주식 시장 투자자들에게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준이 금리를 올리면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인플레이션이 줄어들어 주식 시장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연준이 금리를 낮추면 경제 성장을 자극하고 인플레이션을 증가시켜 주식 시장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PCE라는 것은 개인소비지출(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PCE) 물가지수는 PCE 디플레이터라고도 하며, 국내 소비 물가의 전체 평균 상승도에 대한 미국 전역 지표입니다.
통화에 대한 영향은 긍정적/부정적 양쪽으로 미칠 수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증가는 이자율 상승 및 해당국 통화 가치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반면, 경기 침체기에는 경기 침체의 심화 및 그에 따른 해당국 통화 가치 하락으로도 연결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