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전이전이
전이전이23.04.25

미분양 넘어 미입주 대란! 대책 방안은?

주인 못 찾은 신규 주택 물량이 쌓여가고 있습니다. 상반기 미분양 가구만 10만 정도 예상하고 있는데요. 이제 미 분양을 넘어 미입주 사태까지 벌어지고 있는데요. 이런 문제를 타개할 대책은 뭘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26

    안녕하세요.

    최근 경제지에서도 전국에 있는 건설사의 미분양 아파트의 분양률을 높이기 위해 할인마케팅등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고 나온적이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한 여러가지 정책이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고 대출금리도 부담되지만 개인들의 실질소득 감소로 금융비용 부담률이 높고, 아직까지 전세계가 함께 경기침체중에 있다보니 더 떨어질수 있는 분위기도 간과를 하기 어려운듯 합니다.

    대출금리도 낮아져야하고, 거품이 낀 부동산가격도 조정이 필요하고, 실질소득도 늘어야 하는등 여러가지 대책이 복합적으로 나타나야 하며 특히, 미국의 움직임에 따라 많이 반영이 되겠지만, 조금더 지켜 봐야할듯 생각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정부가 시장에 개입해 정상화를 위한 직,간접적 노력을 해도 결국 그 한계가 있습니다. 시장 특성상 결국은 수요가 올라와야 되는데 고금리, 경기불황등에 요인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대책을 내놓아도 단기적, 일시적 영향만 미칠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최근 부동산 규제를 대폭완화 하였음에도 서울 일부지역을 제외한 지역은 아직도 미분양 해결이 안되는 점을 볼때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 않는한 정부대책으로는 해결이 불가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첫번째로는 건설사에서 할인분양을 파격적으로 하고 입주를 못하는 이유는 살고있는집을 팔고 가려다 집값이 떨어져 잔금등의 문제인 경우가 많은것을 보았을때 최후에 수단은 정부가 매입하는것 말고는 뾰족한 수가 없어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어상 공인중개사입니다.

    시장의 자율적인 수요공급의 논리외에는, 정부의 시장개입은 극히 제한적이고 미분양의 정부매입 등은 시기상조라고 국토부장관이 밝힌바 있습니다.

    경기침체와 고금리체제가 유지되는 한 매수심리가 살아나지 못하여 분양의 잔금을 처리하지 못하거나,

    미입주 전세물량이 일시적으로 증가하여 역전세로 공급되면 주택의 매매가격이 역전세란에 의거 하락하는 요인이 될 것입니다.

    미분양은 시공사의 할인분양이나 중도금 무이자 정책 등으로 소화되어야 할 것이고, 입주물량의 증가는 시장의 급매로 가격에 반영되는 시장의 자율에 의하는 수 밖에는, 달리 정책으로 해결하는데는 역부족이며 한계가 있다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공인중개사입니다.


    미분양, 미입주의 근본적 해결은 호가하락입니다.

    시장의 자연스러운 순리입니다만, 부동산이 국민 대부분의 가장큰 자산인 관계로 정부에서 임대주택개념으로 활용위해 해당매물들을 어느정도 소화 시킬것으로 예상됩니다.


    도움이되셨나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