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똑똑한그늘나비46
똑똑한그늘나비46
23.11.22

이전 세대와 지금 세대의 문해력 차이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흔히 요즘 것들은 문해력이 낮고, 상식이 부족하고 그런 말도 많고 그런 이미지 인데요, 예전과 지금의 교육 과정이 바껴서 그런 것 일까요? 아님, 휴대폰 보급으로 인한 시각적인.. 뭔가 그런식으로 정보를 받아들여서.?

또는 예전에는 한자교육을 했는데 요즘에는 안하나요?


제일 중요한건 현재 mz세대는 문해력은 낮지만 그래도 정보를 많이 갖고 있다 생각하는데 정말 문제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23.11.22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인터넷의 활성화와 함께 문자의 이용에도 많은 변화가 생겼습니다.

    필기를 위주로 하는 것보다 자판을 이용해 사용되며, 휴대폰의 보급으로 인해 이러한 변화가 더 가중되었습니다.

    또한 정확하지 않은 정보들이 많은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습득하게 되는데 무엇이 옳은지 틀린지를 정화하게 파악하기 어려움과 함께 쉽게 정보를 접할수 있는 점도 부작용이 발생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예전 에는 책을 종이 책으로 많이 읽엇지만 지금은 종이책을 읽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20년 전만 해도 중고둥 학교 의무 교육으로 한문 시간이 있었는데 요즘은 한문 시간이 없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이유들이 갈수록 학생들의 문해력이 떨어 지는 이유인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말의 50%이상이 한자로 되어 있어서 중의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가 되었던 심심한 사과도 마음 속 깊이 사과한다는 의미이지만 심심하다는 우리 말로 해석하여 문제가 되었던 것처럼 한자를 배우지 않아서 이해차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문해력을 확장시키려면 한자교육을 통해서 중의적 표현에 대해 알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지금 현세대는 한자보다는 영어에 훨씬 친숙하여 영어로 표현하는 것이 받아들이는데 거부감이 덜할 것입니다. 한자교육과 영어교육의 병행으로 문해력을 확장시켜 나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