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조그만파랑새2
조그만파랑새223.09.11

홍범도 장군이 업적을 남겼음에도 왜? 일부사람들에게 폄하되고 있는건가요?

제가 아는 홍범도 장군님은 독립운동가이며,


전투에서도 용맹하게 일본군과 맞서 싸우시고


많은 업적을 남기신걸로 알고 있는데


최근 이슈가 되고있는 공산주의 이력? 으로 인한 흉상철거 논란과


홍범도함 명칭 변경논란..


왜 이렇게 흘러가는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나중에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 당하셔서


생계를 위해 소련당? 가입했다고 알고있고


광복되기전 43년도에 별세 하셨는데 ,


이게 공산주의 성향으로 봐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아하 전문가분들의 생각을 여쭤보고싶어요


그리고 제가 모르는 부분이 있다면 더 알려주세요(역사적 팩트)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념으로 우리나라를 갈라놓으려는 무리한 현정부의 무식한 정치방법때문이지요...

    도대체 지금이 어떤시대인데 반공으로 이념몰이를 하는지... 정말 대책이 없습니다.ㅠ 제발 굥이 좀 끌어내립시다. 그릇이 안된놈을 앉혀가지고....ㅠㅠ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홍범도장군은 김좌진장군의 청산리전투에 버금가는 봉오동전투를 대승으로 이끈 독립군 사령관으로 대한민국 독립에 혁혁한 공을 세운 인물입니다. 주로 러시아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고 자유시 참변으로 만주에서 쫓겨올라온 독립군 다수에 희생될 때 남은 소수를 이끌고 군사훈련을 시키는 등 활동을 하다가 스탈린의 강제이주정책으로 중앙아시아로 쫓겨나기도 했으며 말년에는 고려극장의 수위를 지내기도 하였습니다. 소련 공산당에 가입한 것은 사실이나 이는 레닌과 스탈린의 사상을 신봉해서라기 보다 독립운동을 위해서 불기피한 선택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홍범도 장군은 1868년 함경북도 웅기군에서 태어났습니다. 1907년 대한제국 군대에서 일하다가, 1910년 한일합방 이후에는 독립운동에 투신했습니다.

    홍범도 장군은 1919년 3·1 운동 직후, 만주로 망명하여 대한독립군 총사령관으로 활동했습니다. 1920년 11월에는 북만에서 일본군과 벌인 청산리 전투에서 승리하여, 독립군의 사기를 크게 고양시켰습니다.

    그러나 1921년 11월, 홍범도 장군은 소련군에 의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되었습니다. 1927년에는 소련 공산당에 가입했지만, 이는 생계를 위해 취한 조치였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홍범도 장군은 1943년 8월 22일 중앙아시아에서 사망했습니다.

    홍범도 장군의 공산주의 이력은 최근 들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홍범도 장군이 소련 공산당에 가입한 것은 독립운동을 위한 것이 아니라, 공산주의자로 변절한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또한, 홍범도 장군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된 것은 소련의 지배를 받아야 했던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이에 대해 다른 한편에서는 홍범도 장군의 공산주의 이력은 독립운동의 한 과정일 뿐이라고 주장합니다. 홍범도 장군은 생계를 위해 소련 공산당에 가입했고,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된 것은 소련의 지원을 받아 독립운동을 지속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것입니다.

    홍범도 장군의 공산주의 이력에 대한 논란은 그의 업적을 평가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홍범도 장군을 공산주의자로 규정하고, 그의 업적을 부정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홍범도 장군을 독립운동의 영웅으로 평가하고, 그의 업적을 재조명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홍범도 장군의 공산주의 이력에 대한 논란은 단순한 역사적 팩트를 넘어, 한국 사회의 정치적, 사회적 갈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홍범도 장군의 업적을 올바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그의 공산주의 이력뿐만 아니라, 그의 독립운동 활동 전반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참고 하셔서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