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4.01.31

녹고 있는 빙하를 다시 얼릴 수 있는 기술은 없나요?

냉장고에 얼음을 얼리 듯 북극과 남극 극에서 녹아 내린 빙하를 다시 얼릴 수 없을까요? 인위적으로 다시 얼릴 수 있다면 해수면 상승이나 지구 온난화를 늦출 수 있지 않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냉장고에 얼음을 얼리듯 북극과 남극 극에서 녹아 내린 빙하를 다시 얼릴 수 있는지에 대해 궁금하신 것 같아요. 이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빙하를 다시 얼릴 수 있는 기술은 현재까지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빙하는 매우 큰 규모이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다시 얼릴 수 있는 기술은 매우 어렵습니다. 그리고 빙하를 얼리는 것은 단순히 얼음을 만드는 것과는 다릅니다. 빙하는 물과 같은 액체가 아니라 고체이기 때문에 다시 얼리는 것은 더욱 어렵습니다.

    하지만 빙하를 다시 얼릴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는 진행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빙하를 얼리는 냉각 장치를 설치하여 빙하의 온도를 낮추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빙하를 얼리는 냉각 장치를 바다 바닥에 설치하여 바닷물의 온도를 낮추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들은 아직 실험 단계이며 실제로 적용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들이 빙하를 다시 얼리는 것만으로 해수면 상승이나 지구 온난화를 완전히 막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빙하를 다시 얼리는 것보다는 지구 온난화를 막는 노력이 더 중요합니다. 빙하를 다시 얼리는 것은 단기적인 해결책이 아니라 장기적인 해결책이 필요합니다.

    제가 알고 있는 바로는 이와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인위적으로 다시 얼리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더 많이들어 지구온난화를 촉진하게됩니다.

    탄소배출을 산업화시대 이전으로 돌려놓는것이 아닌이상 지구온난화를 멈출수는없고, 다른생물들이 기후변화에 적응가능하도록 그 속도를 늦추는것이 가장 현실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몇가지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1. 희귀 물질을 추가해서 녹는 속도를 줄이는 노력을 하고 있고

    2. 희귀 물질을 뿌려서 열을 반사시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3. 인공눈을 뿌려서 빙하를 만드는 노력을 하고 잇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녹고 있는 빙하를 다시 얼리는 기술은 현재로서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빙하는 온도와 압력이 필요한 환경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녹은 빙하를 다시 얼리는 것은 매우 어려운 기술적인 문제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과 남극의 빙하를 인위적으로

    다시 얼리는 아이디어는 창의적이고

    지구 온난화와 해수면 상승 문제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매우 흥미로운 접근입니다.

    실제로 과학자들과 엔지니어들은

    이와 유사한 개념을 모색하고 실험하기도 합니다.

    바람을 이용해서 물을 펌핑하여 얼음의

    두께를 증가시키려는 프로젝트나 바다물을

    얼려서 북극 해빙을 복원하려는 시도가

    일부 제안되었습니다.

    매우 넓은 지역에 걸쳐 빙하를

    얼리려면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이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화석 연료를

    사용하게 되면 오히려 온실가스 배출량을

    증가시켜 지구 온난화를 더욱

    가속화시킬 수 있습니다.

    현존하는 기술로는 극지의

    엄청난 양의 물을 얼릴 수 있는

    방법이 현실적이지 않습니다.

    기술적 과제는 물론 이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계와 인프라 설치는

    또 다른 환경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인위적으로 얼음을 생성하는

    과정이 지역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미세한 기후 변화나 해류에

    어떤 부정적인 파생 효과가

    있을지를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근본적인 문제인 지구 온난화의

    원인을 해결하지 않습니다.

    지속 가능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와 해수면

    상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원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아야 합니다.

    에너지 효율성 향상

    재생 가능 에너지원으로의

    전환 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 개발 산림 보전

    및 조성 등이 포함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을 얼릴려면은 공간이 갖힌 상태의 영하 온도에서 얼어야 하는데 사방이 뚫린곳에서 다시 인위적으로 얼리기에는 엄청난 에너지가 소모되고 오히려 얼음을 녹이기 위해 탄소배출은 많아 질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