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12.09

새들이 전기에 감전이 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전깃줄을 보게 되면 전기줄 위에 수많은 새들이 앉아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많이 위험해 보이는 거 같은데 새들은 전기 감전이 안 되는 거 같더라고요 이렇게 새들이 전깃줄에 앉아 있어도 전기에 감전이 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물리적인 가장 큰 이유는 새가 전깃줄에 앉을 때 한 개의 줄에 일렬로 다리를 놓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선에 각 다리를 얹게 됩니다. 이에 따라 감전이 되지 않습니다. 또한 전선의 피복이 워낙 두껍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새들한테 전기가 통하지 않는것은 전선을 감싸고 있는 피복 덕분입니다. 사람이 만져도 전기가 안통할수 있지만 고전류로 위험하긴 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새가 전깃줄에 앉아도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로, 새가 전깃줄에 앉았을 때 전류에 대한 높은 저항력을 가지기 때문에 전류가 새가 아니라 계속 전깃줄을 따라갑니다.

    두번째로, 새가 전깃줄에 앉을 때 두 다리 사이의 전선 부분과 새의 몸통이 서로 병렬로 연결되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두 다리와 전선 부분에는 저항이 0에 가깝게 되고, 전위차도 0이 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새들이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전선에 감겨져 있는 피복 때문입니다. 전자의 흐름으로 발생하는 전류는 전선의 구리선 내에서 일어나며 그 외부는 고무 재질의 절연체로 감싸져 있기 때문에 구리선을 흐르고 있는 전류가 새에게 전달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이 사는 거주지역의 저전압 전선에는 피복이 감겨져 있으나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전선에는 피복이 감겨져 있지 않는 나전선이 존재하기도 하는데 새가 이곳에 앉더라도 감전이 되지 않는 이유는 전선의 저항과 관련이 있습니다. 새가 전선줄에 앉을 경우 병렬 형태로 연결도 있는데, 전류가 새를 통해 흐른다고 해도 새의 한쪽 다리를 통해 몸통으로 들어간 후 다른쪽 다리를 통해 밖으로 나가게 되므로, 전류가 흐른다고 해도 아주 미세한 전류만이 전달되기 때문에 새가 감전되어 떨어지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깃줄의 전기는 전류의 경로를 가진 닫힌 회로를 형성하지 않습니다. 전기는 회로를 완전하게 형성하려면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네트워크가 필요합니다. 전깃줄은 단독으로 떠 있는 전선이기 때문에 전기가 흐를 수 있는 경로가 없어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전깃줄은 절연체로 되어 있습니다. 전기 회로에서는 전류가 흐르는 금속 재질이 전기를 전달합니다. 그러나 전깃줄은 절연체로 되어 있어 전기를 전달하지 않는 소재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전기가 전깃줄을 통해 새에게 전달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깃줄은 보통 두 가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새가 한 가닥의 전깃줄에만 앉아 있으면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전류는 전위차가 있는 두 지점 사이를 흐르기 때문에, 새가 한 가닥의 전깃줄에만 앉아 있으면 새와 전깃줄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아 감전되지 않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