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MMF가 시가평가하는 조건은 무엇인가요?

MMF는 대기 자금을 넣어 놓기에 좋은 보관처라고 생각합니다. 일반적으로 장부 평가를 하기에 수익률이 꾸준히 쌓이다가 특정 조건이 되면 시가평가를 한다고 하는데 그 조건이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에서 예금이 대출보다 많아지면

      일시적으로 자금 운용할곳이 필요한데

      법인형 MMF에 가입하는 경우가 많고 수탁고도 적지 않기 때문에

      보통 금융투자에서는 많은 상품들을 이용하고 운용하고

      조건으로 따진다면 완충조건. 3영업일 안에 다시 30%회복하면 장부가형으로 유지

      대량환매가 일어나는경우에는 10일간 영업일 유예...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MMF에 한하여 시가와 장부가의 괴리율이 0.5% 이내인 경우 장부가 평가를

      허용하였으나 기존 MMF 중 안정적 자산이 30%를 초과하는 경우에 한해 장부가 평가방식을

      인정하였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2.4.1일 이후 신규 설정되는 MMF에 대해서는 시가평가를 시행합니다.

      안정적 자산비중이 30% 이하로 떨어지더라도 3영업일 내 회복하면 장부가 평가가 가능하며, 일시적·일회성 대량환매로 안정적 자산 비중이 갑자기 낮아지면, 시가평가 전환을 10영업일 간 유예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내년 4월1일 MMF의 시가평가 제도가 시행된다. 2020년 3월18일 금융위원회의 금융투자업규정 개정으로 국채·통안채 등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자산의 편입비율이 30% 이하인 법인형 MMF에 대해 시가평가 방식을 도입하되, 시가평가 방식을 통해 리스크 관리가 강화되는 만큼 가중평균 잔존만기 한도는 현행보다 완화(75일→120일)된다. 국채·통안채 등의 편입비율이 30%를 초과하는 법인형 MMF는 현행 장부가평가 방식을 유지하되, 장부가평가 방식이 리스크 적기 반영에 한계가 있는 만큼 가중평균 잔존만기 규제를 강화(75일→60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