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열대야의 기준은 상대적인 것인가요?

지역마다 국가마다 평균기온이 다른데

열대야의 기준은 국가, 지역 상관없이 동일한가요?

가령 우리나라의 열대야 기준과 남미지역의

열대야 기준은 다른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

    열대야라는 말은 일본의 기상 캐스터인 구라시마 아쓰시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구라시마는 일 최저 기온이 25°C면 열대 지방의 밤처럼 더워서 잠을 자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용했습니다. 일본 기상청에서는 열대야를 야간의 최저 기온이 25°C 이상인 밤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75년 무렵부터 일본의 용어를 들여와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1980년대 들어서는 기상청 예보에도 사용되는 등 본격적으로 대중적으로 사용하였습니다. 기상청은 2009년 7월 24일부터 하루 최저 기온이 아닌 밤 최저 기온(오후 6시1분부터 다음 날 오전 9시)으로 기준을 변경하여 적용하고 있습니다.

    유럽은 우리나라보다 온도가 낮은 기준을 사용하며 야간에 기온이 20°C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날을 열대야라고 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열대야는 국젲거으로 통일된 절대기준이 있는게 아닌 나라별로 상대적 기후 환경을 반영하여 하게 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인 밤을 이야기하며 오후 6시부터 오전 9시까지의 평균기온을 이야기합니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