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계약갱신청구권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집주인이고 전세를 준 상황입니다
2년뒤에 계약갱신청구를 나중에 세입자가 할때
집주인인 제가
혹시 월세나 반전세로 하자고 요구가 가능한가요?
꼭 전세로 계약을 갱신해야되는건가요?
답변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홍성호 공인중개사입니다.
집주인은 어떤식으로 계약을 하든 계약내용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세입자가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달라지게 됩니다.
그때는 현재 보증금에서 5%이내 증액에서만 계약이 가능하게 되는거죠.
우선 세입자가 사용하기 전까지는 계약내용을 변경해서 요구하는 건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임형순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임대차 보호법에 <갱신되는 임대차는 전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계약된 것으로 본다> 는 규정이 있습니다
따라서 전세의 월세로 전환 등 다른 조건은 임차인의 동의가 없다면 일방적인 변경이 불가하며 동의한다면 새로운 계약으로 재계약이 될 수 있겠습니다이와는 별도로 청구에 의한 갱신 계약시도 차임과 보증금은 기존의 20/1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5%이내) 에서 인상 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 되시기를 바랍니다안녕하세요. "부동산코칭 박샘" 박진혁 공인중개사입니다.
임차인이 계약갱신요구권을 사용을 하면 현 임대조건과 동일한 조건으로 계약을 하는 것입니다.
임대인이 월세나 반전세로 변경을 하려고 해도 임차인이 동의를 하지 않으면 하지 못합니다.
2년을 기다렸다가 하고 싶은대로 하면 됩니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