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는 유전적이 요인이 큰 것으로 알고 있는데 장애 가정을 위한 복지정책은 어떠한가요?
보통 장애는 선천적, 유전적인 요인이 크다고 들었습니다.
부모가 장애인인 경우, 아이도 장애를 확률이 높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장애 가정을 위한 복지정책은 어떠한가요?
장애의 원인은 유전적인 요인 뿐 아니라 유전적인 요인, 사고나 질병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장애 가정을 위한 주요 복지 정책은
장애인 등록 및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 장애인연금, 장애수당, 특별장애수당 등의 경제적 지원
특수학교 및 통합학급 확대, 통학 차량 지원, 특수교사 및 보조인력 배치, 시험 시 편의 제공 등의 교육지원
장애인의 의무 고용제, 고용 장려금, 직업재활시설 운영 등의 일자리 및 자립 지원
진료비 본인부담 경감, 보장구 지원, 정신건강 재활시설 및 상담센터 운영 등의 의료 및 건강 지원
공공임대주택 우선 공급, 주택 개조 비용 지원, 장애인 콜택시 운영, 전용 주차구역 확대 및 단속 강화 등의 주거 및 이동 지원
문화이용권, TV 자막방송 및 수어통역 확대, 점차 도서관, 오디오북 서비스 제공 등의 문화 및 정보 접근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사회복지사입니다.
장애인을 위한 복지정책은 기술 혁신과 지원 확대를 중심으로 발전 되어지고 있습니다.
주요정책변화로는
기초연금 및 활동지원 확대, 주거 및 교통 지원 강화, 고용 및 교육지원 확대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장이 사회복지사입니다.
장애인 복지관 등 장애인 우선 복지정책 지원하며 특히 부모회 경우 바우처 시스템 적용 복지 서비스를 운영중입니다
체험 재활 체육등 다양한 프로그램 진행
지원합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사회복지사입니다.
장애 가정을 위한 복지정책은 2024년부터 장애등급제가 폐지되고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 제도가 확대 운영되고 있는데요. 기존 1~6급 등급제에서 개인 맞춤형 지원 중심으로 바뀌었고요. 장애 특성과 생활 상황을 고려한 종합조사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역복지관, 주민센터에서 상담이 가능하고요. 소득 수준이 낮은 중증장애인에게는 매달 연금이 지급되는데요. 장애인연금으로 기초연금과 부가급여, 최대 월 40만원 이상 지급하고요. 장애수당으로 등록 경증장애인에게 월 4 ~6만원을 지급합니다. 특별장애수당으로 생활이 어려운 중증장애인 가정을 지원합니다. 모든 장애 학생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는 특수학교 및 통합학급을 확대하고 통학차량을 지원하며 특수교사, 보조인력 배치를 강화하고, 입시 및 시험 시 편의를 제공하는데요. 시간 연장, 대필 등을 합니다. 자립을 위한 가장 중요한 기반인 장애인을 위한 일자리 정책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은 장애인 고용 의무가 있고요.
고용시에는 사업주에게 지원금을 제공하고요. 장애인재활시설을 운영하는데요. 보호작업장(이와 비슷한 곳에서 사회복지실습을 했습니다.), 자활센터 등이 있겠으며 워크넷 내에 장애인 전용코너를 두어서 장애인 맞춤형 취업포털을 운영합니다. 그리고 건강한 삶을 위한 의료지원으로 의료비 경감, 휠체어, 보청기 등 피룡 보장구 구입시 국가보조, 정신장애인 대상 재활시설 및 상담센터 운영, 공공임대주택 우선 공급하는데요. 중증장애인 우선 입주하고요. 경사로, 욕실 손잡이 등 설치 지원과 전국 주요 도시 운영,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확대 및 단속 강화, 연 10만원 상당의 문화바우처, TV자막방송, 수어통역 방송확대, 점자 도서관, 오디오북 지원 서비스 등이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