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23.04.17

증류법은 물질의 어떤 성질을 이용한 것인가요?

증류법은 물질의 어떤 성질을 이용한 것인가요?

증류법은 액체 혼합 물질을 분류하는 방법입니다.

이 증류법은 어떻게 하는 것이고 액체의 어떤 성질을 이용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액체뿐만 아니라 모든 물체는 끓는점이라는게 있는데요..

    특히, 분별증류에 대해 말씀드리면...혼압액체가 서로 섞여 있는데..이들 성분의 각기 다른 끓는점을 이용하는 분별법입니다.

    예를 들어, 물과 알콜(메틸알콜)이 섞여있다고 치면..

    이를 서서히 가열하면 메틸알콜이 끓는점이 약 65도로 낮아 먼저 증발합니다. 물론..그 사이 물도 서서히 증발하겠죠..

    하지만..이를 다시 냉각하면 기화되었다가 다시 액화되어 튜브를 통해 모여지는데...액화되는 지점에 다시 모으면...온도에 따라

    물과 알콜을 분리하여 모을수 있는데...이를 증류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증류법은 물질의 끓는 점이 다른 물질보다 낮은 특성을 이용한 방법입니다. 즉, 다양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에서 각 성분들의 끓는 점이 다르기 때문에, 증류기를 사용하여 끓는 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각 성분들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혼합물을 가열하여 기체 상태로 만들고, 다시 압력 조절과 냉각 등의 과정을 거쳐 각 성분을 분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우재 과학전문가입니다.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증류법은 말 그대로 증류하는 방법입니다. 각 액체 성분의 끓는 점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이 증류법을 통해 고 순도의 성분을 추출/분리할 수 있는게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증류법은 끓이는 부분(가열부)과 끓은 성분이 빠르게 냉각되어 추출할 수 있는 부분(분리 혹은 추출부)를 활용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증류법은 액체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해 물질의 끓는 점(끓는 온도)의 차이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각각의 물질은 특정한 끓는 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액체 혼합물을 가열하여 끓는 점이 낮은 물질이 먼저 증발하고, 그 다음에 끓는 점이 높은 물질이 증발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증류법은 이렇게 물질들의 끓는 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액체 혼합물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알코올의 정제, 원유의 정제, 음료수의 정제 등에서 증류법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증류법은 혼합된 액체를 분류하는 방법이며 액체의 끓는점의 차이를 이용한 방법입니다.

    예를들어 물과 에탄올이 혼합되어 있을경우 물의 끓는 점은 100도이고 에탄올은 60~70정도이기 때문에 이 차이를 이용해서 분별증류를 통해 에탄올만 분리해 낼수 있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증류법은 물질의 끓는 점 차이를 이용한 것입니다.

    물질은 각각 일정한 끓는점을 가지고 있어 끓는점의 차이가 있는 혼합물을 가열하면 끓는점이 낮은 것이 먼저 증기가 되어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온도에 따라 나오는 증기를 냉각시켜 액체로 환원하여 모으면 각각의 물질별로 분리시킬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활용이 원유를 다양한 종류의 기름으로 분리할 때 이런 증류법을 사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증류법은 물질의 끓는 점이 다른 성분들을 분리하는 데 이용되는 방법입니다. 물질은 일정한 온도에서 기체로 변화하는데, 이때 기체 상태인 분자들이 고체나 액체 상태보다 운동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이 때 물질의 끓는 점은 압력과 온도에 따라 결정되며, 끓는 점이 낮은 물질은 높은 물질보다 쉽게 기체 상태로 전이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