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아임유얼마더
아임유얼마더22.12.18

눈이 내리기까지의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요즘 눈이 오는 걸 보고 신기해하는 아이에게 설명해주려고 합니다. 눈이 내리기까지의 과정이 궁금합니다. 알기 쉽게 설명 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8

    지표나 바다의 해수면 온도가 태양열에의해 열을 받게 되면 수증기가 생기게 되고 이 수증기는 상승기류를 형성하여 하늘로 올라가게 됩니다.

    하늘로 올라가던 수증기가 상층에서 차가운 공기를 만나게되면 응결되어 구름이 됩니다.

    이구름속의 수증기가 서로 뭉쳐 두꺼운 구름이 되고, 북쪽에서 내려오는 아주 영하 30도 이상의 차가운 대기를 만나게되면 급속하게 얼게 되고 중력을 이기지 못해 지상으로 내려가면 이것이 눈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속의 물방울들이 온도가 낮아지면서 얼음알갱이가 되고 이 얼음 알갱이에 수증기가 달라붙으면서 점점 무거워지며 땅으로 떨어지며 눈이 됩니다.

    도움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 눈은 구름으로부터 내리는 얼음 결정(눈 결정), 또는 얼음 결정이 구름으로부터 내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한마디로 하늘에 있는 얼음조각이 녹지 않고 떨어지는 것이지요. 이런 눈이 만들어지는 현상을 설명하는 것으로는 `빙정설'이 있습니다.

    즉, 일반적으로 눈은 가운데 핵(빙정핵)을 중심으로 형성되는데, 낮은 온도에서도 얼지 않은 과냉각 상태의 물방울이 그냥 얼어붙거나 혹은 물방울이 증발하고 그 수증기가 얼게 되어 미세한 얼음 결정이 되는 것이 초기 과정입니다. 이 결정에 수많은 수증기가 얼어붙음으로써 점차 커지고 무거워지면서 형성된다는 것으로, 물방울로부터 증발된 수증기가 빙정 표면에 승화ㆍ응결돼 강수입자가 된다는 원리이지요. 빙정이 빙정핵의 작용으로 생성된다고 해서 `빙정설'이라고 부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이란? 대기 중의 구름으로 부터 지상으로 떨어져 내리는 얼음의 결정체를 말합니다.


    [ 눈이 내리는 이유와 눈 내리는 원리 ]

    우리가 돌아다니면서 보는 눈은 상승기류에 의해서 계속 공급되는 수증기로~ 하늘에 떠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이렇게 모인 수증기는 영하에서도 얼지 않는 과냉각 상태를 계속 유지한답니다.


    하지만 강한 상승기류를 타고 수증기가 높이 올라가게 되면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게 되고, 구름 속의 수증기는 과냉각 물방울로 변하게 됩니다. 점점더 기온은 떨어지게 되고 과냉각 물방울이 얼기 시작~

    작은 얼음입자인 빙정이 형성됩니다.

    시간이 흐르고 얼음 입자가 주위 수증기를 흡수하여 일정한 크기 이상의 무게가 상승기류에 이르게 되면 무게때문에 공중에 떠있을 수 없게됩니다. 이때 지표면으로 떨어지는 하얀색의 결정체가 바로 눈이라고 합니다.


    눈이 내리다가도 중간에 기온이 높아지게 되면 물방울이 되고 그게 바로 비가됩니다.


    참고로 눈이 내리는 이유와 눈 내리는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다가 신기한걸 발견했습니다.

    눈은 영하의 온도에서 만들어집니다. 하지만 온도가 너무 떨어지게 되면 오히려 눈이 잘 만들어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 눈은 구름을 이루고 있는 작은 물방울들이 온도가 낮아져 얼음 알갱이로 변해서 만들어집니다.

    이 얼음 알갱이가 증발해 수증기가 되고, 얼음 알갱이로 다시 뭉치는 과정이 반복되다가,

    알갱이의 덩치가 어느 정도 커지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눈입니다.

    기온이나 여러 요인에 의해 이 과정이 얼마나 반복되냐 따라 눈의 크기가 결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