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1

겨울에 눈이 만들어지는 원리가 너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하늘에서 비가 오는거도 신기한데 눈이 오는건 더욱 신기하고 즐거운일이 아닐수 없습니다.

이 눈은 어떤 원리로 만들어져 떨어지는지 과학적인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홀쭉한타킨이
    홀쭉한타킨이23.05.11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중의 수분이 서로 모여 구름을 만드는데 이때 주위의 온도가 낮으면아주 작은얼음 알갱이가 됩니다 이 얼음 알갱이가 일정 무게이상 모여 무거워지면 땅으로 떨어지는데 지상의 날씨가 추우면 눈이되어 떨어지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 내부의 빙정에 수증기가 달라 붙어 눈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충분히 무거워져 상승기류를 이기고 떨어지기 시작하는 것이죠.

    만일 이대로 지상까지 내려오면 눈이 되고 중간에 녹으면 비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증기를 머금은 공기가 하늘로 올라가면 공기는 팽창하면서 온도가 점점 낮아져 0℃ 이하가 되면 공기 속 수증기는 얼음 알갱알갱이 빙정이 되어 안개나 구름을 만들어 구름 속에서도 공기 온도는 위로 올라갈수록 점점 떨어져 그러다 공기가 영하 20℃에 가까운 온도가 되면 그 안에 있던 수증기들은 대부분 큰 얼음 알갱이로 변신 커진 얼음 알갱이는 중력에 의해 땅으로 내려와요 비가오는것과 같은 원리 날씨로 인한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 눈이 만들어지는 원리는 복잡하지만, 기본적으로는 대기 중에 있는 수증기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체로 변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일정한 기온과 습도, 그리고 기타 환경 요인이 필요합니다.

    눈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상승 기류에 의해 고도가 높아지면서 대기가 차가워지고, 이때 수증기가 얼음 결정체로 변하여 눈이 만들어지는 과정입니다. 또 다른 하나는 습도가 높은 대기 상태에서 기온이 낮아지면서 수증기가 물방울로 응축되고, 이 물방울이 고도가 높아지면서 결정체로 변하여 눈이 만들어지는 과정입니다.

    이러한 과정 중에서 눈이 결정체로 변하는 과정은 아주 중요합니다. 눈 결정체는 대칭적인 분자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결정체가 만들어지며, 이러한 형태의 차이가 눈의 모양과 크기에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눈 결정체가 공기 중에서 움직이면서 다른 눈 결정체와 충돌하면 더욱 복잡한 모양의 눈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