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꾸잉꾸잉
꾸잉꾸잉24.04.18

기립성 저혈압인지는 모르겠어요.

나이
24
성별
여성

요근래 어지러워서 검사했는데 기립성 저혈압?이라고 혈압약을 주셨어요. 평상시 수동은 정상, 자동은 저혈압이 나왔고 이번에도 타병원에서 수동은 정상으로 나왔는데 신경과에서 자동으로 잰 혈압상 판정받은 기립성 저혈압으로 처방받은 약 미드론정을 복용해도 될까요?


왜 자동으로는 늘 저혈압이 나올까요? 수동으로 정상인데 미드론정을 복용해도 되는 건가요? 복용 안 해도 괜찮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자동혈압계와 수동혈압계의 차이로 인해 서로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자동혈압계는 측정 시점, 자세, 기계 오차 등에 영향을 받아 수동보다 부정확할 수 있어요. 보통은 수동혈압계로 잰 값을 더 신뢰할 만합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누워있다 일어설 때 갑자기 혈압이 떨어져 어지러움, 실신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에요.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누운 자세와 선 자세에서의 혈압 변화를 확인해야 합니다.

    본인이 기립성 저혈압이 맞다면 혈압약 복용이 증상 완화에 도움 될 거예요. 하지만 평소 혈압이 정상이라면 약물 복용이 오히려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요. 이 경우 생활습관 교정으로 증상을 관리하는 게 좋습니다.

    담당의와 상의해 약물 복용 필요성을 재평가 받아보세요. 진단이 명확하지 않다면 복용을 보류하는 게 현명할 거 같네요. 필요하다면 기립경 검사, 24시간 활동혈압 검사 등을 통해 정밀 진단을 받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자세 변경후 5분이내 수축기 20mmHg 이완기 10mmHg 변화가 있으면 진단이 붙습니다

    자동과 수동의 차이는 아닌 것 같습니다

    다시 한번 정확하게 측정을 해보세요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

    기립성 저혈압을 빈단할때는 기립경 검사를 시행합니다. 이를 통해 명확히 진단할수 있으며, 필요시 순순환기내과 내원하여 진료보실것 권유드립니다.

    (신체진찰, 의료기록을 볼수 없기에 명료한 답변은 한계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다른 선생님 진료에 대해 옳다, 그르다 말씀드리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카프레이즈를 꾸준히 하시는 것이 기립성 저혈압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증상이 생길 때는 쪼그려 앉거나 스키자세를 하시면 증상이 금방 없어집니다. 하체 근육량이 적어서 생기는 경우가 가장 흔하기 때문에 하체 근력 운동을 꾸준히 부하를 늘리면서 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