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우아한개리202
우아한개리20222.03.10

오미크론 재감염 다시 될 확률 높나요?

나이
6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아이가 오미크론에 감염 됐었는데

단체생활을 하다보니 또 걸릴수도 있을것 같아요

재감염도 되나요? 6개월은 향체가 생겨서 괜찮다고들

하고 같은 바이러스는 다시 안걸린다는데

어느것이 진실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은영 의사입니다.

    코로나 19 확진 후 3~6개월간은 획득된 항체로 인해 재감염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확진 후 3개월 이후 부터는 항체가 낮아져 오미크론을 포함한 같은 변이 바이러스에도 재감염 가능합니다.

    현재 코로나 19의 재감염율은 20%가 넘었고 3회 이상 감염자도 2000명 이상 나오고 있습니다. 재감염 시 입원율 및 위중증도가 상승하므로 재감염에 주의하셔야합니다.

    궁금증 해소에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현재 우세종은 오미크론 변이로 확진된 후에 백신 접종처럼 항체가 형성됩니다. 백신 접종 후에 항체가는 대략 3개월에 최고치를 찍고 6개월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확진자도 이와 유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수개월 동안은 같은 변이에는 재감염의 가능성은 낮습니다. 하지만 서로 다른 변이의 경우 생성된 항체를 회피하여 재감염 시킬 수 있어 이론적으로 가능성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

    낮지만 재감염 가능성이 있습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백신+개인위생+사회적 거리두기 해주십시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코로나 바이러스 역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같다고 보시면 이해하기가 수월합니다.

    호흡기 감염 질환은 한번 걸리면 다시는 걸리지 않는 것이 아니며 재감염이 가능하나

    첫번째 감염 때 면역항체가 생기기 때문에 재감염시에 증상이 없을 수 있고 경하게 넘어가기도

    합니다. 1년간 코로나 확진자를 관찰하였을 때 0.2% 에서 많으며 2.5% 까지 재감염이 되는

    것으로 보고한 연구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오미크론 감염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재 감염 가능성이 있을 수는 있습니다

    다만, 새로운 변이 등이 생기면 그 전에도 걸릴 수 있겠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오미크론에 재감염될 가능성은 희박하고 변이에 재감염될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코로나 감염 후 완치가 되면 우리 몸에 자연항체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다만 이 항체도 3~6개월뒤에 소실됩니다. 이후에는 감염에 노출될 경우 재감염 될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또다른 돌연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재감염 될 수 있습니다.


  •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확진된 이후에는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만들어져 일정 기간 동안 유지되기 때문에 한동안 바이러스에 재차 감염될 가능성이 매우 낮아집니다. 하지만 시간이 경과하며 항체의 역가가 감소하게 되면 추후에 재감염의 가능성은 충분히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3.11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백신접종자의 돌파감염과 마찬가지로 왼치자도 재감염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감염 이후에도 추가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부스터 접종등 추가접종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재감염은 가능성은 낮지만 이론적으로 가능하며 실제로도 매우 낮은 비율로 발생합니다. 말씀하셨다시피 한번 감염 후에는 항체가 형성되어서 일정기간동안은 재감염이 생기기 힘들며, 그 항체는 6개월 정도는 지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 정부 지침에서도 재감염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최소 45일이 지나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영 의사입니다.

    변이 바이러스 출현 이후 코로나19 확진됐던 환자가 변이 바이러스에 재감염되는 사례가 발생했는데

    지난해 12월 브라질 마나우스에서 3/4 주민이 코로나에 감염돼 집단 면역이 형성돼 있었음에도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로 인해 확진자 수가 급증했다고 발표된 바 있습니다.

    국내 첫 재감염 사례는 2020년 3월 확진 뒤 회복됐다가 4월 다시 양성 판정을 받은 환자로

    최초와 재검출 간 서로 상이한 바이러스 유형이 확인됐으며

    그 후 질병관리청도 재감염 사례 조사를 위한 기준안을 마련해 재감염 사례분석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재감염 사례는 있으나 매우 드문 경우이므로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전문가 이창운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네 재감염 가능합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선 1월 27일에 발표한 바로 재감염 추정 사례는 142건으로 당시 누적 확진자 대비 0.031%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 재감염 추정 사례는 최초 확진일 90일 이후 PCR 검사에서 양성이 확인된 경우, 최초 확진일로부터 45~89일 뒤 PCR검사 결과가 양성이면서 증상이 있거나 확진자와 접촉한 경우 등도 추정 사례로 판단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감염 이후에 바로 재감염이 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백신 접종 이후에 돌파 감염이 되었을때는 효과가 뛰어난 항체가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시간이 경과하면서 항체 효과가 감소하고 변이 바이러스에 노출되었을때는 감염이 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오미크론에 대해서는 재감염이 되지 않을 겁니다. 오미크론이 아닌 다른 변이가 심하게 생긴다면 감염이 될 수도 있구요. 이전 변이에 대한 연구만 보면 재감염율은 1-2%, 오미크론에 대한 재감염의 10%정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변이를 계속 일으키고 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종에 감염이 되신거라면 다시 오미크론 변이종에 걸릴 확률은 굉장히 낮습니다.

    하지만 만약에 코로나 바이러스가 또 다시 변이를 일으킨다면 그 변종에는 다시 감염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