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풍수지리는 어디서 유래된 것일까요?
우리나라의 풍수지리를 중시하는 분들도 제법 있는데요.
이런 풍수지리학은 어디서 유래된 학문일까요? 한국의 고유 풍수학 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한국의 풍수지리의 기본개념은 땅의 형세를 인간의 길흉화복에 관련시켜 설명하는 자연관의 하나로서, 풍수지리, 지술, 음양 등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립니다. 풍수에 의하면 땅은 생적의 존재로서 만물을 키우는 힘을 가지고 있으며 그 힘의 많고 적음에 따라 인간에게 주는 혜택도 달라진다고 합니다. 길한 정기가 왕성한 장소에 터를 잡으면 그 자손들이 부귀영화와 장생을 누리지만 반대로 흉기가 있는 장소를 택하면 불행을 겪는다는 것입니다. 풍수에서는 인간의 성쇠가 완전히 하늘과 땅에 의해 정해진다고 믿습니다.
그 유래는 흔히 신라 말기에 불교 선종의 승려들이 중국에서 수입했다는 설이 대세를 이룹니다.
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자생설 신라 중기 도입설 등도 근거가 있어 여전히 논의되고 있습니다.
일단 물기가 샘솟는 땅에 만든 원성왕릉(괘릉)이나, 여러 신라 왕릉들이 좌북조남의 원칙을 그다지 신경쓰지 않은 사례를 봐도 신라 하대까지는 적어도 후세 사람들이 생각하는 풍수지리는 도입되지 않았거나, 알려져 있었더라도 왕실과 귀족계층도 크게 신경쓰지 않거나 부분적으로만 도입되었다는 걸 알 수 있다. 신라 때도 전불 7처 같은 고유 신앙의 길지라는 개념은 있었지만 중국식 풍수지리와는 기준이 달랐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출처: 나무위키 풍수지리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풍수지리는 중국에서 유래된 학문입니다. 중국에서는 "풍수(風水)"라는 용어로 불리며, 지형과 자연환경의 변화에 따라 인간의 삶과 운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믿는 전통적인 학문입니다.
한국에서도 중국의 영향을 받아 풍수지리에 대한 관심이 있었으며, 특히 조선시대에는 왕실에서 풍수지리에 대한 연구와 실천이 이루어졌습니다. 그러나 한국의 풍수학은 중국의 풍수지리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한국의 지리와 문화, 신앙 등이 반영된 독자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요즘에는 서양의 학문과 문화의 영향을 받아, 전통적인 풍수지리학에 대한 관심은 조금 줄어들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일부 사람들은 풍수지리에 대한 믿음과 실천을 갖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홍휴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풍수지리는 장풍득수 에서 유래된 말로써 바람을 감추고 물을 거둔다는 뜻이라고합니다.
중국에서 먼저 만들어진용어라고하네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풍수지리의 기원은 가장 극단적인 자생풍수지리설의 주장으로 구석기시대부터 그 연원을 찾습니다.
이에 의하면 한반도는 지형적인 구조에 있어 산이 많은 까닭으로 산악과 산신에 대한 숭배사상이 구석기 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왔으며 산신과 산악의 숭배사상은 한반도를 중시으로 독특한 지석묘문화를 형성했다고합니다.
우리나라에 있어 풍수지리사상은 산악지대의 지리적인 환경조건과 산악숭배사상, 영혼불명사상 등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하게 되었다는 주장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풍수지리는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중국의 성리학과 자연신경설이 우리나라에 전해져 풍수지리학이 발전하였습니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이산(利山)과 석주(石州) 등의 풍수가 대표적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산은 '진리를 기리는 산'으로, 석주는 '동서를 막는 산'으로, 그 역할이 상징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졌습니다. 또한, 조선 후기에는 풍수지리를 이용해 건축, 도시계획 등에 적용하는 일도 많이 이루어졌습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풍수지리는 중국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면서도, 한국의 지리적 특징과 문화에 맞춰진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