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7

꿈을 꾸면 기억이 잘 안나는 이유가 뭘까요?

잠을 잘때면 누구나 꿈을 꾼다고 하는데요.

막상 깨고 나면 기억이 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설령 기억이 나더라도 금방 잊혀지고요.

그렇게 되는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건조한낙타 245
    건조한낙타 24523.08.29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꿈을 꾸는 렘수면 단계일때는 기억력이 현저하게 떨어집니다. 이에 일어났을때 기억을 못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꿈 속에서의 경험은 덜 현실적이거나 상상력이 풍부하기 때문에, 히포캠퍼스에서 기억으로 잘 전달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상에서의 사건은 뇌에서 현실적인 정보로서 처리되고 기억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그러한 기억이 더 잘 남는 것입니다


  • 꿈을 꾸면 기억이 잘 안나는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그 중 일부입니다:

    1. 수면 단계: 수면은 REM(빠르고 눈을 움직이는 눈동자 운동) 단계와 NREM(비빠른 눈동자 운동) 단계로 나뉩니다. REM 단계에서의 꿈은 더 활발하게 경험되지만, 이 단계에서의 꿈은 깨어있는 상태에서의 경험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며, 기억이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2. 기억 전환 문제: 꿈의 내용을 잘 기억하려면 꿈에서 깨어난 직후에 그 내용을 기록하거나 생각해야 합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아침에 일어나면서 바쁜 생활에 빠져 기억 전환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3. 저수면: 꿈은 대부분 수면의 REM 단계에서 발생하지만, 수면 중에는 NREM 단계도 있습니다. NREM 단계는 꿈이 덜 활발하게 나타나는 단계로, 이 단계에서는 꿈을 기억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4. 망각: 꿈은 현실적이지 않거나 무작위한 내용을 담을 수 있기 때문에, 뇌가 이를 필터링하거나 정리하는 과정에서 망각될 수 있습니다.

    5. 인지적 부하: 수면 중에는 뇌의 인지 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꿈의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거나 기억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6. 필터링과 선택: 우리가 꿈을 꾸는 동안 뇌는 많은 정보를 처리하고 있습니다. 이 중 일부만 기억에 남고, 나머지는 버려질 수 있습니다.

    7. 정서적 연결: 꿈에서 체험하는 강렬한 감정이나 상황은 꿈을 깨어난 후에도 기억에 남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꿈이 이와 같이 기억에 남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꿈을 꾸면서 기억이 잘 안나는 이유는 수면 단계, 기억 전환 문제, 저수면, 망각, 인지적 부하, 필터링과 선택, 그리고 정서적 연결 등 다양한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꿈을 꾸면 기억이 잘 안나는 이유는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꿈을 꾸는 동안 뇌의 렘 수면(rapid eye movement sleep) 단계에서 뇌의 기억 저장 기능이 약화되기 때문입니다. 렘 수면은 꿈을 꾸는 단계로, 뇌의 신경세포가 활발하게 움직이며 정신적으로 깨어 있는 상태와 비슷합니다. 그러나 렘 수면 중에는 뇌의 해마(hippocampus)가 활발하게 활동하지 못합니다. 해마는 기억을 저장하고 장기 기억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는 뇌의 영역입니다. 따라서 렘 수면 중에는 꿈의 내용이 해마에 제대로 저장되지 못하여 기억이 잘 나지 않는 것입니다.

    꿈의 내용이 현실과는 다른 비논리적인 내용이 많기 때문입니다. 꿈은 현실의 경험과 기억을 바탕으로 만들어지지만, 때로는 현실에서 일어날 수 없는 비논리적인 내용을 포함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비논리적인 내용은 뇌가 꿈을 기억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사람마다 꿈을 기억하는 능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꿈을 기억하는 능력은 개인차가 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꿈을 꾸자마자 자세히 기억하는 반면, 다른 사람은 꿈을 꾸고 나서 시간이 지나면 기억이 희미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뇌의 기억 저장 능력, 꿈에 대한 관심도, 꿈을 꾸는 횟수 등의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사람들은 꿈을 꾸면 기억이 잘 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꿈은 주로 REM단계에서 발생합니다. REM 수면 단계에서는 뇌파와 신경 활동이 활발하며, 꿈의 내용을 생성하고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REM 수면 단계에서의 기억 형성과 저장은 비교적 약한 편입니다. 따라서 REM 수면에서의 꿈은 다른 수면 단계보다 기억에 남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잠들거나 일어날 때와 같이 인지적인 변화가 발생할 때, 즉각적인 정보 처리 및 기억 형성에 영향을 줍니다. 꿈에서 일어난 정보를 기억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인지적 변화가 최소화되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수면 단계: 꿈은 보통 수면 중 빠른 눈 움직임단계에서 발생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뇌파 패턴이 활발하게 변동하고, 꿈을 경험하는 동안 기억 형성과 관련된 뇌 영역이 활성화됩니다. 그러나 REM 수면 단계는 수면의 일부인데, 이 단계에서의 꿈은 보통 일상적인 꿈이며, 기억에 잘 남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기억 전환: 꿈은 상상력과 현실 사이에 있는 경험의 변환입니다. 이러한 변환 과정에서 기억의 형태가 변경되거나 희미해질 수 있습니다. 꿈에서 경험한 것을 일상 기억으로 전환하는 과정은 복잡하며, 이로 인해 기억이 희미해질 수 있습니다.

    3. 깨어난 후의 간섭: 꿈을 꾸던 도중에 갑자기 깨어나게 되면, 즉각적인 간섭으로 인해 꿈을 기억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도중에 깨어나지 않고 꿈을 마무리하고 일어난 후에도, 시간이 흐르면서 기억이 희미해질 수 있습니다.

    4. 관심과 주의: 꿈은 우리의 무의식적인 경험을 반영하거나 상상력을 발휘하는 것이기 때문에, 꿈 자체에 대한 관심과 주의가 부족하다면 기억이 잘 남지 않을 수 있습니다. 꿈을 기억하기 위해서는 꿈을 더욱 의식적으로 관찰하고 기록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꿈이 잘 기억나지 않는 이유는 장기기억으로 넘어가지 않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현실과 연장선상에 있는 것도 아니고 연관성도 부족하기 때문에 기억을 할 필요성이

    부족해져서 기억이 빠르게 없어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꿈을 꾸고 나서 기억이 잘 나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꿈은 빠르게 변하고 비구조적인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억에 남기 어렵습니다. 또한, 꿈을 꾸는 동안 뇌의 활동이 다른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기억을 잘 기록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