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바다와함께
바다와함께23.06.18

효율적 시장 가설이란 것은 무엇인가요?

교양 수업을 듣다가 효율적 시장 가설이란 단어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검색을 해 보아도 잘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효율적 시장 가설이란 무엇이고 어떤 기준에 맞추어 단어가 탄생 되었는지 설명 부탁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효율적 시장가설은 자본시장에서의 자산가격에는 그 자산의 가치에

    관한 모든 공개된 정보가 반영된다는 이론이으로 평균 수익 이상의

    초과수익을 얻을 수 없다는 내용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효율적시장가설은 자본시장에서 형성되어 있는 자산가격에는 해당 자산의 가치형성과 관련된 모든 정보가 반영되고 해당 자산의 가치는 즉각적으로 해당 정보들이 반영되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가정합니다.

    해당 이론은 주식시장에 대한 내용을 토대로 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부동산이나 골동품 시장에 또한 적용되는 일반적인 이론입니다. 결국 이 이론에 따른다면 해당 자산의 가치는 실시시간으로 모든 정보를 반영하여 가격이 형성되기 때문에 그 정보들을 이용하여 장기적으로 시장 수익률을 넘을 수 없다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효율적 시장 가설(Efficient Market Hypothesis, EMH)은 주식시장에서 가격이 현재의 정보에 따라 합리적으로 형성된다는 가설입니다. 이 가설은 주식시장이 모든 공정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반영하고, 시장 참가자들이 이를 공평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가정합니다.

    효율적 시장 가설은 세 가지 형태로 분류됩니다.

    1) 약한 효율적 시장 가설: 주식시장은 과거의 가격 데이터와 공공정보를 바탕으로 형성된 현재의 가격을 반영한다는 가설입니다. 따라서 기술적 분석이나 과거 데이터를 이용한 예측은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반강한 효율적 시장 가설: 약한 효율적 시장 가설에 추가로 회계정보와 회사의 내부 정보를 포함합니다. 이에 따라 시장 참가자들은 공시된 정보와 회사의 재무제표를 분석하여 가치 평가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익을 얻는 것이 어렵다고 가정합니다.

    3) 강한 효율적 시장 가설: 약한 효율적 시장 가설과 반강한 효율적 시장 가설에 추가로 비공개 정보까지 모든 정보가 공정하게 반영된다고 가정합니다. 따라서 비공개 정보를 이용하여 초과 이익을 창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합니다.

    효율적 시장 가설은 투자자들이 주식시장에서 지속적인 초과 이익을 창출하기 어렵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시장이 항상 완전히 효율적이라는 것은 아니며, 이 가설은 이론적인 가정에 기반하여 개발된 것입니다. 투자자들은 다양한 전략과 분석을 통해 주식시장에서 성과를 추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