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바로자라
바로자라21.10.12

편도선염인지 편도결석인지 인후염 알수가없네요

어느 날 갑자기 목에 이물감이 생겼습니다 평소에 자주 편도결석이 생겨서

빠지면 시원하고 반복이었는데 이번엔 이물감이 크게 생겼고 또 물을 크게 삼키면 따끔거리면서 아프더라고요

인후염이나 편도선염이 생겨도 따끔거리는 증상이 있어서 편도선염인가 했는데 이게 어쩔 때는 안 아프고 어쩔 때는 아프고

며칠이 지나도 계속 지속되더라고요 구별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0.14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목에서 노란색 악취나는 알갱이가 나오는 것은 편도 결석입니다. 목구멍 안쪽 깊숙이 양쪽에는 편도라는 조직이 있는데, 그곳에서 여러가지 노폐물들과 분비물들이 섞여서 돌처럼 굳어진 알갱이가 쌓이게 됩니다. 가끔씩 입밖으로 나오는데 악취가 나고 노란 빛을 띕니다.

    이비인후과에 가셔서 상담을 받으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단순히 증상만으로는 3가지 질환을 구분하기가 상당히 힘듭니다. 또한 통증을 느끼는 부위가 비슷하므로 질환을 감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병원 방문 후 임상 검사 등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편도결석은 입안에서 작게 부서진 음식물이 식도로 넘어가는 길에 있는 편도 주변에 끼어 생기는 현상입니다. 보통 편도가 크거나 결석이 자주 생기는 구조를 가지신 분들에게서 동반됩니다. 특별히 예방하는 방법은 없고 식사후 물은 자주 드시는고 양치질을 잘하는게 도움이 될 수도 있겠네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주경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편도염의 원인

    편도염은 급성 편도염, 만성편도염 두가지로 나뉩니다.

    급성편도염은 대개 젊은 성인에게 발생하기 쉽고,

    피곤할때

    저온이나 고온에 노출되었을때,

    감기를 앓고 난후,

    대사성질환이나 면역질환을 가지고 있을때

    주로 발생합니다.

    만성편도염은 편도의 염증으로 인해 계속되는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편도염의 증상

    급성편도염은 고열과 오한이 있은 후 목이 아픈증상이 발생하며

    편도염증으로 인해 음식을 삼킬때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감기로 오인을 하지만, 환자의 입안을 보면 편도주위가 붉게 충혈되고 편도가 부어있는 상태이며 표면에 노랗거나 하얀막이 붙어있는 모양을 보입니다.


    편도염의 치료

    물을 충분히 섭취하고 휴식을 취하며, 구강가글제를 사용하여 구강청결을 계속유지하는 것이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적절한 소염진통제와 항생제는 의사의 진단하에 사용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창규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편도결석의 원인 :

    (1) 만성 편도선염

    (2) 편도와 속에 음식물 찌꺼기가 끼면서 세균이 잘 번식하여 세균들이 뭉침

    (3) 구강위생 불량, 비염이나 부비동염

    편도결석의 증상 :

    (1) 입 냄새가 심함

    (2) 입에서 쌀알 같은 작은 알갱이가 나옴

    (3) 목이 아프거나 침 삼킬 때 목에 뭔가 걸린 것 같은 느낌

    편도결석의 치료방법 :

    (1) 레이저나 질상은 같은 약물로 편도에 있는 구멍을 막는 치료

    (2) 편도 자체를 없애는 편도절제술 (가장 확실)

    (3) 편도염이 생겼을 때 제대로 잘 치료하는 것이 중요

    (4) 칫솔질, 가글 등을 시행, 평소에 구강위생을 청결히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임태형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편도결석은 다음의 영향들로 많아 발생하게 됩니다.

    편도선이 표면의 편도와나 내부에 세균, 백혈구, 임파구, 세균의 시체, 지방산

    음식물의 잔류물 등이 고여서 생깁니다.

    자연스럽게 배설되는 경우가 많으나 배설되는 편도선 표면의 출구나 소와 부분이 좁은 경우 편도선 내부안에 뭉쳐서 큰 알갱이를 이룰 수 있습니다.

    증상은 치주병 등 치과질환이 없는 상태에서 구취를 스스로 느낄 경우 편도결석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속적인 목의 이물감을 호소하는 환자도 많습니다.

    편도결석은 만성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으니 꾸준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편도결석이 눈에 보이는 곳에 있을 때 가장 대중적인 방법은 주사기의 수압이나 끝이 뭉뚝한 도구를 이용해서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자주 생기는 경우 CO2 레이저나 고주파기기를 사용해서 수술을 할 수 있습니다.

    가장 근본 대책이 되는 치료는 편도선 자체를 절제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효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편도선염은 영양결핍에 의해 신체저항력이 떨어질때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해 감염되어 발생합니다.


    갑자기 몸에 열이 나면서 추위를 느끼게 되고 목구멍이 아픈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공기나 음식물이 통과하는 통로인 인두근육에 염증이 생기면서 삼키는 것이 힘들게 되며, 두통, 전신쇠약감, 관절통 등의 증상 또한 동반되게 됩니다.

    심할때는 혀의 표면이나 구강내 두껍고 끈적끈적한 점액이 생깁니다.

    통상 5일정도 이러한 증상이 지속됩니다.


    충분한 수분섭취가 중요하며,

    과로에 의한 질병이기도 하기에 휴식이 특히 필요합니다.

    음식은 죽과 같은 부드러운 음식을 드시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호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편도결석이 나타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목젖 아래 양옆으로 자리 잡은 것이 구개편도인데 여기에는 ‘편도와’라 불리는 작은 구멍이 나 있습니다.

    그런데 편도에서 나오는 염증성 액체와 음식 찌꺼기 그리고 세균 등이 편도에 쌓이면 노란 알갱이가 만들어 지는데 이것이 바로 편도결석입니다.

    일단 편도결석이 오면 다음의 현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음식을 먹지 않아도 목에 이물감이 느껴지며 입 냄새가 심해졌다면 편도결석을 의심할 수 있고 입을 벌렸을 때 목구멍에서 쌀알 크기의 알갱이가 보인다면 편도결석입니다.

    치료법은 가글을 자주하고 물을 자주 많이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편도결석이 너무 자주 생겨 불편한 환자는 편도를 제거하는 수술을 고려하기도 합니다.

    편도에는 크립트라는 틈이 있는데 크립트 안에 든 편도결석을 제거하기 위해서 크립트를 편평하게 해주는 편도 성형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구화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편도결석을 일으키는 요소는 다양합니다.

    비염이나 축농증이 있는 사람은 콕물이 자주 목 뒤로 넘어가 구강에 세균이 증식할 가능성이 높아 편도결석이 잘 생깁니다.

    침이 부족해 입안이 건조한 것도 편도결석의 발생 원인이 됩니다.

    편도결석의 증상은 주로 입 냄새가 나고 침을 삼킬 때 목에 이물질이 낀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양치질할 때 기침할 때 가래를 뱉을 때 입에서 0.5 mm 쌀알 크기의 노란 알갱이가 나오기도 합니다.

    이 알갱이에서 생선 비린내와 같은 냄새가 납니다.

    편도결석을 치료하기 위해선 편도염이 생겼을 때 제대로 치료해야 합니다.

    입안에 세균이 번식하지 않도록 음식물 섭취 후 양치질로 청결히 관리해야 합니다.

    침이 마르지 않도록 물을 수시로 마셔 입안을 적셔주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 증상은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특정한 원인이나 질병을 의심하기에 무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있는 만큼 관련하여 정밀 검사를 받고 정확한 상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비인후과 진료를 보시고 필요한 검사 및 결과에 따른 치료를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