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희망풍차
희망풍차

주담대 만기는 길게 잡는게 이득인건가요?

30년 대출 만기 내년이면 5년 되어서

6개월 변동으로 바꼐 갈아탈 까 하는데

갈아타면서 다시 30년 혹은 그 이상으로 잡는게 이득인건지?

아니면 25년 만기로 하는게 나은건지요??

고정 5년으로 하는게 이득인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현재 대출 상환에 부담이 없다면 굳이 만기를 늘릴 필요는 없습니다

    • 따라서 만기는 지금대로 가져가고 금리 갚는 방법만 변동하시면 됩니다.

    • 하지만 현재 상환이 부담이라면 만기를 늘리고 현재 매월 상환 금액을

      줄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개인의 자금과 상황에 맞게 기간을 잡는것일뿐 뭐가 더 이득이고 말고는 개개인에 따라 다릅니다.

    기간을 길게 잡을수록 상환금액중에 원금의 비율이 낮아져서 이자가 크게 늘어나는 면이 있지만 화폐 가치 역시 빠르게 떨어지고 있으니 어떤게 낫다를 직접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대출 만기는 대출 상환계획과 금리 변동성에 따라 결정을 하시는게 좋습니다.

    또한 본인의 자금 운용이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해당 건도 함께 고려하셔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주택담보대출은 조기에 상환하면 상환 수수료가 있을 수 있어 길게 잡는게 좋은데요.

    일단 길게 잡아두고 2년이 지나면 조기 상환을 해도 수수료가 없습니다(금용기관에 따라 다를수 있음)

    본인이 매달 상환하는 금액이 크면 자금 운용에 어려움이 있을수 있기때문에 길게 잡아 월 상환금액을 줄인후 2년후에 여유 되시면 더 많이 상환하면서 갚으시는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의 만기 설정은 개인의 재정 상황과 장기 계획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만기를 길게 잡으면 월 상환 부담이 줄어들어 단기적으로는 유리할 수 있습니다. 30년 이상의 장기 대출은 월 상환액을 낮출 수 있어 당장의 현금 흐름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만기가 길수록 총 이자 부담은 증가합니다. 25년 만기로 설정하면 30년보다 총 이자 비용은 줄어들지만, 월 상환액은 상대적으로 높아집니다. 따라서 본인의 소득 수준과 향후 재정 계획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금리 유형 선택에 있어 6개월 변동금리와 5년 고정금리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현재 금리 상황과 향후 전망, 그리고 개인의 리스크 감수 능력을 고려해야 합니다. 변동금리는 당장의 이자 부담은 낮출 수 있지만 금리 상승 리스크가 있고, 고정금리는 안정적이지만 초기 이자 부담이 높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전에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총 이자가 많아집니다 하지만 매달 나가는 돈은 적습니다 보통은 길게 잡고 적게 내다가 나중에 시세 차익을 보고 나가는 경우에 길게 잡고 있습니다

  • 저는 과거에 주택담보대출을 받을때 일정기간 이상 되어야 연말정산 혜택이 있기에 15년으로 잡고 했습니다.

    너무 길게 잡으면 이자납부액이 너무 커져서 부담스러워서 그렇게 했고,

    중도상환수수료가 낮다면 길게 잡아도 괜찮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택담보대출의 만기는 개인의 소득이나 자산 상황에 따라서 만료기간을 길게 잡을 수도 또는 짧게 잡을 수도 있습니다. 금리가 낮고 본인이 추가 대출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 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면 만기를 길게 잡는 것이 유리 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