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아이언캐슬
아이언캐슬23.03.30

실존주의 철학은 구체적으로 어떤 철학인가요?

실존주의 철학은 구체적으로 어떤 철학인가요? 실존주의 철학은 주요내용, 사상배경, 추구하는 방향성은 무엇인가요? 그리고 실존주의 철학의 대표적인 철학가로는 누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실존주의는 나는 무엇인가? 나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에 대한 물음으로 선택을 통해 자아를 형성하는 인간의 존재방식을 말합니다.

    인간은 태어난 이상 자신의 삶을 자신이 선택할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선택에 대한 불안감에 압도되면서도 그 선택의 자유를 통해 자신의 미래를 만들어가는 존재라는 것입니다.

    실존주의는 니체, 하이데거 등 철학자들의 유일성, 신과 인간의 관계 등에 관련한 연구로 서서히 윤곽이 드러난 실존주의적 주제들을 2차 세계대전을 겪은 전후 유럽의 문학가들이 각각의 작품에서 논의함으로 사회적 움직임을 불러 일으키며 시작하였습니다.

    실존은 반드시 본질에 앞선다, 주관성이 출발점이 되어야만 한다고 생각하는데 실존이 본질에 앞선다는 것입니다.

    원래의 목적이 충족되는 것이 존재하는 것의 형태보다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실존주의 철학은 20세기 초반 프랑스를 중심으로 등장한 철학적 운동입니다. 이 철학의 핵심적인 내용은 개인의 존재 자체에 대한 탐구와 의미, 가치, 자유, 죽음, 고통 등의 문제에 대한 섬세한 분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철학적 탐구를 통해 개인의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자유로운 삶을 살아가는 것을 추구합니다.

    실존주의의 사상배경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반의 현대성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인간의 존재에 대한 불안감과 불확실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회적, 역사적 배경 속에서 인간의 존재 자체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실존주의 철학의 대표적인 철학가로는 사르트르, 카미, 하이데거 등이 있습니다. 사르트르는 개인의 존재와 자유, 의식과 비의식, 인간의 삶의 의미 등을 탐구하였으며, 그의 대표작으로는 『***』, 『존재와 시간』, 『구역질』 등이 있습니다. 카미는 삶의 무의미함, 고통, 죽음 등을 탐구하였으며, 그의 대표작으로는 『이방인』, 『플라귀』, 『사피엔스』 등이 있습니다. 하이데거는 개인의 존재와 시간, 앞뒤관계 등을 탐구하였으며, 그의 대표작으로는 『존재와 시간』, 『인간성의 경계』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