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거대한할미새100
거대한할미새10023.04.11

미국 기준금리는 계속 오르는데 국내 기준금리는 계속 동결해도 문제없나요

오늘 국내 기준금리가 다시 동결되었습니다. 미국 금리는 아직까지 계속 상승중이고 다음 금리도 인상전망이 높아지고 있는데 미국과의 금리차가 벌어지면 국내경제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가 심화되게 된다면 발생하게 될 가장 큰 문제점은 '달러환율의 상승'입니다. 그렇기에 작년부터 우리나라는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달러환율의 상승과 이로 인한 국내의 인플레이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달러환율의 상승을 이끌게 되는 것은 '현재 한미간의 금리격차'가 아니라 '향후 발생하게 될 한미간의 금리격차 수준'이 달러환율의 상승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입니다.

    지난 3월 23일 미국이 기준금리를 0.25% 인상하여 우리나라와의 기준금리 격차가 1.5%로 더욱 심화되었습니다. 하지만 기준금리 격차가 심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있었던 당일 아침의 달러환율은 오히려 30원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렇게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달러환율이 하락하였던 이유는 금리인상 발표 직후 파월 의장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완화되고 향후 1차례의 금리인상을 하여 5.25%의 정점금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포인트를 잡으실 것은 미국의 기준금리 정점수준이 5.25%라는 것인데, 이는 곧 향후 우리나라와의 기준금리 격차가 아무리 심화되더라도 1.75%범위 내에서 움직이게 될 것이라는 예상치를 제공하게 됩니다. 그렇기에 한미간의 기준금리 격차가 심화되었음에도 달러환율의 상승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기조가 다시금 빨라지지만 않는다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한차례 더 이루어지는 것은 이미 예측범위내의 변동으로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미국과 달리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은 비율이 높기 때문에 미국만큼 금리를 올리지는 못합니다.

    이미 그 부분까지 선반영 되어 있어 크게 바뀌는것은 없을겁니다.


  • 안녕하세요. 이돈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의 금리 격차로 인해 국내에 투자되어 있는 외국계 자본의 유출이 우려 됩니다.
    금리 차이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가 이번에 금리를 동결한 이유는 가계 대출,
    물가상승 둔화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가계 대출 비중이 큰데 금리를 계속해서 올리게 되면 큰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허환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미국과 한국의 금리차가 발생하면 생기는 문제는 국내 외국인들의 투자 자금 유출과 원화 약세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하여 수입 물가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현제 기준금리가 더 벌어질 것으로 예상되어 한국 입장에서는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데

    우리나라가 동결하여 금리차이가 계속 발생한다면

    원달러 환율 급등 외인 자본 유출 등의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장효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의 금리차가 단기간이라면 별 문제가 없겠으나, 이것이 장기전으로 갈경우 우리나라 경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선 국내의 달러가 미국으로 옮겨질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신용등급도 높고 이자도 높은 미국의 은행과 국채에 투자하려 할테고, 신용등급도 낮고 이자도 낮은 우리나라의 은행과 국채에 투자하지 않으려 할것입니다.

    그러면 달러가격이 오르고 외환보유율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또한 달러가 빠져나가면서 주식시장에 들어왔던 외국인들 역시 달러를 빼내기 때문에 주가가 전체적으로 하락할 염려가 있습니다.

    그러면 기업들은 주식시장을 통한 현금 확보가 곤란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업들의 이러한 유동성 부족현상은 보수적 투자와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수 있고.

    이는 각 가계의 보수적 소비로 이어지며, 불경기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이상으로 답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본인이 경험 또는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직접 작성한 정보글로, 일부 착오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