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신대부적오함마
신대부적오함마23.02.22

한라산이 다시 화산활동을 할수도 있나요?

한반도에서 현재 화산활동을 하는곳은 백두산만 있는데요. 혹시 제주도의 한라산도 다시 화산활동을 하고 화산폭발을할 가능성도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한라산의 경우 아작까지는 휴화산이 아닙니다. 즉 화산 아래 마그마가 존재하게 되고 어떠한 이유에 의해서 자극이 될 경우에는 충분한 폭발의 가능성은 있습니다. 다만 그게 언제가 될지는 그 누구도 예측을 할 수는 없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한라산은 한반도 남쪽 끝에 위치한 화산으로, 현재는 활동하지 않고 있습니다.


    화산활동 징후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는 지진입니다. 지진은 화산활동이 일어날 때 발생하는 것으로, 대부분은 미세하게 진동이 일어나지만, 갑작스런 큰 지진이 일어난다면 화산 활동의 증상일 수 있습니다.


    둘째는 지열활동으로 인한 기체 배출입니다. 한라산에서는 활동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대량의 이산화탄소나 황화합물 등이 기체로 발산될 경우 화산 활동의 징후일 수 있습니다.


    셋째는 지표면의 변화입니다. 한라산에서는 산사태나 산사태 경사면의 지표면 변화가 적지만, 갑작스런 지표면의 변화나 마그마가 지표면을 침식하는 것이 관측된다면 화산활동의 증상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화산 활동 징후들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되고 있으며, 활동이 발견될 경우에는 국립공원관리공단이나 기상청 등 관련 기관에서 조치를 취할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한라산은 활화산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아마 예전 교과서에서는 휴화산으로 분류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학계에서 한라산은 활동중인 활화산으로 분류합니다.

    그렇다 보니 한라산이 다시 폭발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화산 분출이 일어나기 전 지진이 발생하거나, 화산가스·유황 분출 등 징조가 있어야 하지만 현재까지 제주도 내 오름이나 한라산에서 이 같은 징후가 발견된 적은 없어 도내 화산의 재폭발 가능성은 매우 낮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2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한라산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산 중 하나이며 화산입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한라산이 다시 폭발적인 화산활동을 할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됩니다.

    한라산은 최근 5만년 동안 적극적인 활동을 보인 적이 없으며, 과거 대규모 폭발적 화산활동이 발생한 시기는 지난 25만~10만년 전입니다. 또한, 한라산은 2000년 전후에 한 번 폭발적인 화산활동을 보인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후로는 불안정한 활동이 없었으며, 현재까지 지속적인 활동이나 새로운 화산재 발견도 없습니다.

    하지만 화산은 언제든지 활동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속적인 감시와 관측이 필요합니다. 한라산 주변에는 한라산국립공원 화산감시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주기적인 지진 및 지진재해 관측, 그리고 화산 가스 및 마그마 등의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연구팀은 한라산 고지대에 지진관측망을 설치를 통해 미소 지진(진도 1~3의 지진)을 측정ㆍ분석해 지하의 화산활동을 관찰하고, 마그마 용융체(암석이 녹아 지하에 저장돼 있는 상태)의 존재 여부 및 그 공급구조를 조사할 계획이다. 이어 화산성 미소지진의 발생여부를 확인하고 지진파형 분석 및 정밀 위치결정을 통해 한라산 화산 활동의 징후를 관찰하게 된다.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 안웅산 박사는 “마그마가 존재하는 경우 지진파의 속도가 주변부의 암석에 비해 느려지며, 마그마의 이동에 따라 속도가 변화한다”며 “이전 연구에서 지진파 저속도 구조의 존재 가능성이 제기된 바 있으며, 이번 연구를 통해 설치될 지진관측 정보들을 처리해 해당 구조의 공간적 분포를 고해상도로 확인하고, 시간에 따른 지진파 속도 변화를 정밀 관측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공동연구에 참여하는 대학연구진은 2014년부터 2017년에 걸쳐 제주도 중산간 지역에서 지진자료를 수집 분석해 제주도 중심 하부 55㎞ 지점에 마그마 용융체가 존재하며, 이 용융체는 다시 갈라져 제주도 동부와 서부 지하 10~45㎞ 지점에도 각각 존재한다는 것을 국제학술지에 보고했었다.

    연구팀은 한라산 고지대에 지진관측망을 설치를 통해 미소 지진(진도 1~3의 지진)을 측정ㆍ분석해 지하의 화산활동을 관찰하고, 마그마 용융체(암석이 녹아 지하에 저장돼 있는 상태)의 존재 여부 및 그 공급구조를 조사할 계획이다. 이어 화산성 미소지진의 발생여부를 확인하고 지진파형 분석 및 정밀 위치결정을 통해 한라산 화산 활동의 징후를 관찰하게 된다.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 안웅산 박사는 “마그마가 존재하는 경우 지진파의 속도가 주변부의 암석에 비해 느려지며, 마그마의 이동에 따라 속도가 변화한다”며 “이전 연구에서 지진파 저속도 구조의 존재 가능성이 제기된 바 있으며, 이번 연구를 통해 설치될 지진관측 정보들을 처리해 해당 구조의 공간적 분포를 고해상도로 확인하고, 시간에 따른 지진파 속도 변화를 정밀 관측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공동연구에 참여하는 대학연구진은 2014년부터 2017년에 걸쳐 제주도 중산간 지역에서 지진자료를 수집 분석해 제주도 중심 하부 55㎞ 지점에 마그마 용융체가 존재하며, 이 용융체는 다시 갈라져 제주도 동부와 서부 지하 10~45㎞ 지점에도 각각 존재한다는 것을 국제학술지에 보고했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한라산은 국내에서 가장 높은 산이자 활성화된 화산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마지막 화산활동이 발생한 시기는 약 5000년 전이며, 현재까지 큰 화산활동이 발생한 적은 없습니다.

    그러나, 한라산은 여전히 활동 중인 화산으로 지속적인 지진 활동이 관측되고 있습니다. 이는 지하에서 마그마가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한라산에서 언제든 화산활동이 발생할 가능성은 항상 존재합니다. 그러나, 화산활동은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한라산이 언제 다시 폭발할지를 정확하게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예전에는 한라산을 휴화산으로 봤는데 요즘 연구가 계속 이루어지고 정보가 많이 쌓이면서 한라산을 제주도를 쌓아올린 여러 단성 내지는 준단성화산체들 중에서 가장 중앙에 크게 쌓인 것에 불과한 것으러 보고 있어요. 단지 제주도가 하나의 커다란 화산지대였다는 것이지 실제로 대부분 화산폭발이 한라산의 중심폭발이 아니라는 것이죠.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