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게임이나 올림픽 같은 것을 개최하게 되면 경제에 어떤 영향이 있나요?
요즘은 중국에서 항저우 아시안 게임이 열리고 있는 기간인데요 이렇게 아시안 게임이나 올림픽 같은 것을 개최하게 되면 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방문객과 한국의 이미지를 세계에 알려 추가 관광객 유치에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하지만 기대효과보다는 보통 적자이고 세계적으로 어려운 시기라 얼마나 외국인들이 와서 돈을 쓸지는
도박입니다. 모른다는 말이죠
이태원참사 잼버리사건으로 안좋은거는 다 봤다고 합니다 제 외국인 친구들도 알더 군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KDI(한국개발연구원)은 2001년 5월 '2002한일월드컵 경제파급 효과'라는 보고서를 낸 바 있다.
총 3조4,707억원의 지출을 통하여 부가가치 5조3,357억원(2000년 경상GDP 517조억원의 1%), 생산유발효과만 11조4797억원, 고용 35만여명이 창출되는 것으로추정되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시안 게임이나 올림픽을 하게 되면 도시 기반 시설 확충 등으로 얻게 되는 유.무형의 경제효과는 더욱 크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지난 2002년 부산 아시아 게임 당시 우리 나라는 경기 시설에서부터 교통망 확충에 이르기까지 예상되는 생산과 고용의 유발 효과만 최대 13조 원, 여기에 부가가치 창출로 얻어지는 5조5천억 원을 합하면 18조 원 이상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있었다고 하니 올림픽은 더한 이익을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올림픽이나 아시안 게임과 같은 국제 경기를 개최하게 되는 경우에는 해당 지역의 낡은 인프라를 경기를 위해서 재건설 하게 되면서 인프라 재건사업과 함께 건설업과 신규 일자리창출 효과가 발생하며, 해당 지역과 국가에 대한 홍보 그리고 관광객과 선수들이 해당 국가에 방문하면서 소비를 하여서 경제적 창출효과를 만들어내게 되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단기적으로는 많은 여행객뿐만 아니라 관람객들의 유입 증가로 해당 나라와 도시를 전세계인에게 알리는 기회가 됩니다.
다만, 무리하게 경기장 건설 등을 하면서 돈을 쓰고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잊어지기 때문에 흉물로 변하는 곳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평창뿐만 아니라 브라질 리우 월그컵 등에서도 현재는 방치되어 세금을 갉아먹고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러한 행사 등을 개최하면서
관련 인프라 건설 등을 통한 고용효과,
그리고 지역경제활성화, 관광객 유입, 국가 가치 상승 등
여러 장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