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불같은쇠오리169
불같은쇠오리16923.06.22

단군신화가 역사로 인정받고 있나요?

한반도 최초로 성립된 나라인 고조선 및 그 이전 단군신화가 역사로 인정받는지가 궁금합니다.

얼핏 들었을때 역사로 인정받지 못한다고 이야기를 들어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조선은 기원전 2333년에 건국된 나라입니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하는 고고학적 증거가 제한적이고 신화와 역사가 뒤섞여 있기 때문에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긴 합니다. 단군 신화는 말 그대로 신화입니다. 그 시대의 풍습을 알 수 있는 정도로만 사용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단군조선은 국가의 시조로서 중요시되었다. 단군조선과 기자조선의 지배자인 단군과 기자는 국조(國祖)로서 제사를 지냈으며 단군조선은 조선의 역사가 중국에 못지 않게 오래되었다는 자부심으로 강조되었다.

    그러나 문자 기록이 미비했던 시기의 고대 국가였던 탓에 단군조선과 관련된 기록은 매우 소략하고 정확한 연대도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이나마 중화사상을 바탕으로 한 사대주의로 인해 중국 은·주에서 도래한 기자가 시조로 선호되면서 사대부들에 의해 개별적으로 편찬된 많은 역사서들은 대부분 단군조선부터 역사를 기록하지 않고 기자조선 또는 삼국을 기점으로 서술하고 있다. 단군조선은 기자조선의 기록에 부기(附記)되거나 별도의 기록으로 다루어졌다.


    일제강점기에 단군조선은 고조선과 함께 식민사학자들에 의해 역사적 실체를 부정당하였다. 일제는 단군조선과 단군신화가 신화에 불과하고 역사성이 없어 인정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식민사관의 일환인 ‘타율성론’에 입각하여 단군조선을 부정하고 기자조선, 위만조선, 한사군으로 이어지는 중국의 식민지배가 계속되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단군신화 및 단군조선에 대한 문헌적 연구가 병행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일제의 식민사관에 맞서 박은식, 신채호 등은 민족사학을 주창하며 단군조선을 민족의 시초가 되는 국가로 강조하였다. 또한 한민족뿐만 아니라 만주, 몽골 등을 모두 단군조선의 후계 국가 또는 민족으로 파악하기도 하였다.


    광복 이후 대한민국의 역사학계는 단군신화 및 단군조선으로부터 고조선의 역사와 사회상을 분석하고 있다. 기자조선과 함께 단군조선이라는 왕조는 인정하지 않고 고조선과 위만조선의 2개 시기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고조선의 건국 연대에 있어서도 다양한 견해가 나타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단군조선 시기에 해당하는 기원전 23세기에서 기원전 11세기에 이르는 시기는 고조선이라는 국가가 형성되지 못하였던 때로 본다. 한편 단군에 대해서는 랴오닝성 및 한반도 서북부에 걸쳐 분포하던 여러 촌락 또는 부족 국가의 정치·종교적 지배자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한다.


    2000년대 이후의 대한민국에서도 최근 2~3년 사이 정선, 춘천 등에서 청동기 초기 유물로 보이는 덧띠새김무늬 토기가 기원전 2000년쯤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빗살무늬 토기와 함께 발굴되어 청동기 문화를 가졌다는 고조선 건국시기와 청동기 도입 시기가 거의 일치하여 청동기 시대도 연대를 올려야 한다는 학계의 지적에 따라, 2007년 2월 23일에 대한민국 교육인적자원부는 ‘단군왕검이 고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한다’는 부분을 ‘단군왕검이 고조선을 건국하였다’로 좀더 명시적인 표현으로 수정할 것을 담은 서술 지침을 발표하였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군 신화’의 다방면에서의 해석

    •역사적 해석:‘단군 신화’는 웅녀로 대표되는 신석기 시대 빗살무늬 토기 문화와 환웅으로 대표되는 청동기 시대 민무늬 토기 문화의 결합을 신화적으 로 표현한 것이다. 또‘단군왕검’은 제정일치 시대의 군장을 의미하는 말이 다.‘단군’은 제사장을,‘왕검’은 임금을 뜻한다. 따라서 단군 조선은 일종의 신정 국가로 볼 수 있다. 단군이 죽어 산신이 된 것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민속적 해석: 신권의 상징인 천부인, 토템으로 보이는 곰과 호랑이의 존재, 쑥과 마늘의 주술적 효력, 삼칠일의 금기 등은 민속적으로 의미 있는 요소들 이다. 우선 천부인 세 개를 칼·거울·방울로 볼 때, 이는 단군을 무당으로 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쑥과 마늘을 통해 동물성이 제거되고 인간이 되었 다는 것은 쑥과 마늘의 독성 제거 효력에 근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 삼칠 일은 출산과 관련된 민속적 금기의 기간이다.

    •문학적 해석:‘단군 신화’는 하나의 정형적인 신화이다. 이 신화의 논리는 크게 보아 천상과 지상의 결합, 광명(태양신의 아들 환웅)과 암흑(웅녀의 햇 빛 보기 금지)의 조화 속에서 인간(생명)이 탄생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신과 인간의 결합, 동물과 식물의 매개가 있다.‘단군 신화’에 나타나는 태백산이 나 신단수는 세계 알타이계 신화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세계산, 세계수와 같 은 의미를 가진다. 이 신화 속의 신화적 요소는 우리 민족의 생성과 국가 건 립의 신성성을 보여 주는 것이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