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따뜻한겨울
따뜻한겨울
22.01.20

고려시대 문벌귀족, 권문세족, 신진사대부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고려시대 귀족집단인 문벌귀족, 권문세족, 신진사대부가 있다고 들었는데 이들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와일드한참고래293
    와일드한참고래293
    22.01.20

    안녕하세요. 쫀쫀한사마귀265입니다.

    문벌귀족

     1. 유형 : 호족계, 6두품계, 개국 공신계 

     2. 특징

      (1) 과거와 음서로 관직 독점, 중서문하성, 중추원의 재상이 되었다.

      (2) 공음전의 혜택

      (3) 왕실과 혼인, 개경에 거주

     3. 문벌 귀족

      (1) 대표적 - 경원 이씨 (이자겸)  /  해주 최씨 (최충)  / 경주 김씨 (김부식) / 파평 윤씨 (윤관) / 

      (2) 문벌 - 이장용, 최자, 윤인첨, 임유, 최선, 허공, 김태서

      (1) 무벌 - 최충헌 (우봉 최씨),, 김취려(언양 김씨), 채송년 (평강 채씨), 김중구(안동 김씨)

      (2) 신 - 민영모, 조영인, 홍규

     4. 몰락 : 무신 집권 후 ➝ 권문세족의 등장

      

    권문세족

    1. 외세를 배경으로 성장, 요직 장악, 거대한 농장 소유 (대농장 - ‘강과 하천을 경계로 삼음’)

    2. 유형 : 친원파가 많음 

     3. 특징

      (1) 음서, 도평의사사, 첨의부, 밀직사 등 독점

      (2) 친원적 불교옹호

     4. 권문 - 조인규(통역), 윤수(응방), 김방경(군인)

     5. 몰락

      : 위화도 회군 이후, 토지 국유제가 시행되며 농장 상실, 사대부에 의해 조선이 건국

     cf) 권문세족 ‘자제위’설치 (1372)

     

      “조인규는 미천한 신분으로 몸을 일으켜 짧은 시일 내에 국가의 중요한 관직을 얻었고 ~ 아들 사위들이 모두 장군,

       재상의 지위에 올라 있어 누구도 감히 그에게 비길만한 자가 없었다.“

      T) 권문세족 세력을 누르기 위해 노비안검법이 시행되었다?    (X)

         ☞ 노비안검법은 고려 초 광종 때

    신진 사대부의 성장

     1. 의미 - 학자적 관료

      (1) ‘사’ - 글 읽는 계층

      (2) ‘대부’ - 정치에 종사

     2. 등장

      (1) 무신 집권기에 등장 - 최우가 설치한 ‘서방’을 통해 등장

      (2) 충선왕 - 사림원을 통해 성장

      (3) 홍건적, 왜구 격퇴과정에 군공, 납속을 통한 ‘첨설직’, ‘동정직’ 받은 자 증가 ☞ ‘재향 품관층’형성

      (4) 대부분 공민왕 때 성장, 중앙 진출

      (5) 출신 : 향리, 하급관리에서 주로 배출, 재지 중소지주의 자제


    3. 특징

      (1) 과거로 진출, 성리학

      (2) 중소 지주 출신, 친 명적

      (3) 개혁 추구, 실천적

      (4) 한계 : 권문세족이 인사권을 가지고 있고, 과전과 녹봉도 제대로 받지 못함.

  • 안녕하세요. 윤재빵야빵야입니다.

    문벌귀족은 고려를 세울 때 공을 세운 사람들을 말합니다.

    권문세족은 고려시대 원나라 간섭기에 원나라 편을 들던 귀족들,

    신진사대부는 원간섭기에 몰래 힘을 키워 고려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세우려고 했던 귀족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