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2.08.29

신기루 현상이 발생되는 원인은 무엇때문인가요

영화나 드라마를 보다 보면 모래밖에 없는 사막을 걷다가 신기루라는 현상을 겪는걸 볼수 있습니다

신기루 현상이 발생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신기루는 공기의 밀도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뜨거운 공기는 차가운 공기에 비해 밀도가 낮습니다.
    밀도가 차이가 생기면 빛이 굴절하게 되고,
    지면에 있는 공기로 빛이 들어올수록 위쪽에서 더 휘게 되어
    반대편 물체가 지면에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 현상이 신기루 입니다.

    따라서 사막에서 오아시시를 신기루로 보곤 하는데,
    이것은 실제로 오아시스가 근처에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신기루란 대기 중에서 온도 차이가 나는 공기에 의해 빛이 굴절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물체가 실제의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한여름의 낮에 차를 타고 도로를 달리다 보면 도로에 물이 고여 있는 것처럼 보일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도로를 자세히 관찰하여 보면 물은 고여 있지 않습니다. 이러한 이유는 바로 빛의 굴절 때문입니다. 도로 표면의 공기는 강렬한 햇빛으로 인하여 뜨겁게 가열되고, 도로 위쪽의 공기는 도로 표면보다 차갑게 됩니다.

    하늘에서 아래쪽으로 반사된 빛은 보통 차가운 공기를 지나 도로 쪽으로 똑바로 나아갑니다. 이 때 빛은 도로 가까이를 지나면서 뜨거운 공기로 인하여 위쪽으로 굴절되고, 관측자의 눈에는 마치 뜨거운 도로 쪽에서 빛이 나온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하늘에서 아래쪽으로 반사된 빛 중의 일부는 굴절하지 않고 똑바로 관측자의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실제 하늘의 모습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늘의 모습 가운데 하나는 실제 하늘의 모습이고, 다른 하나는 거꾸로 보이는 하늘의 신기루 모습입니다. 하늘이 신기루의 대상이 되어 도로에 물이 고여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신기루는 공기의 온도에 따른 밀도차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밀도가 가벼우면 위로 올라가고 무거우면 내려가기 때문에 신기루가 발생해요.

    그래서 사막이 아니라도 극지방에서도 나타나기도 한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굴절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신기루는 뜨겁게 달궈진 지면과 상공의 공기차로인해 빛의 굴절에 의해 발생합니다. 우리 뇌는 빛이 들어오면 일직선 상에서 들어온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유리잔에 물을 가득 채워 놓은 뒤 젓가락이나 빨대를 넣었을 때 휘어보이는 현상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