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원칙이란 무엇인가요?

삼일절을 기념해서 3.1운동에 대해 알아보던중에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원칙이라는 것을 보게되었는데

이것은 무슨 내용을 말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윌슨 민족자결주의원칙이란 1919년 제1차 세계대전의 뒤처리를 위해 열린 파리 강화회의에서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우드로 윌슨이 제창한 것으로,

      한 민족이 그들 국가의 독립 문제를 스스로 결정짓게 하자는 원칙을 말합니다.

      즉, 이 민족자결주의란 한 민족이 다른 민족이나 국가의 간섭을 받지 않고 자신의 정치적 운명을 스스로 결정하는 권리를 실현하려는 사상입니다.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원칙은 전승국의 식민지에는 적용되지 않았고, 패전국이나 러시아의 지배하에 있었던 일부 약소민족에게만 적용되었습니다.

      이는 식민지 상태에서 해방과 독립을 열망하는 약소민족들에게 큰 희망을 안겨 주었고, 우리나라의 3·1운동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1919년 제1차 세계대전의 뒤처리를 위해 열린 파리 강화회의에서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우드로 윌슨이 제창한 것으로,

      한 민족이 그들 국가의 독립 문제를 스스로 결정짓게 하자는 원칙을 말합니다.

      이는 식민지 상태에서 해방과 독립을 열망하는 약소민족들에게 큰 희망을 안겨 주었고, 우리나라의 3·1운동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민족자결주의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윌슨이 제안한 민족 자결주의는

      각 민족은 자신의 정치적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으며, 이 권리는

      다른 민족의 간섭을 받을 수 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는 당시 식민지나 반식민지 상태에 있던 약소민족들을

      크게 고무시켰다.

      -출처: 우리역사넷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윌슨의 민족 자결주의는 당시 식민지나 반식민지 상태에 있던 약소민족들을 크게 고무시켰다. 많은 식민지⋅반식민지 국가들의 독립운동가들과 민중들은 민족 자결주의가 자국의 독립을 지지하는 것으로 생각했다고 합니다. 한국의 독립운동가들도 민족 자결주의에 고무되어 ‘외교독립론’을 통해 한국의 독립이 성취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는 패전국인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만투르크 제국 등의 식민지와 점령지에만 적용되었고, 전승국의 식민지와 점령지에는 적용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때문에 제1차 세계 대전의 전후 처리를 위해 열린 파리 강화 회의에서는 연합국이 지배하거나 점령한 아시아 지역의 식민지 문제는 의제로 거론되지도 않았습니다. 일본도 연합국의 일원으로 참전하였기 때문에 한국의 독립 문제도 논의되지 않았다고 하네요. 정말 내로 남불 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18년 1월 18일 우드로 윌슨 대통령은 그때부터 미국이 세계 평화를 책임지겠다는 자신감이 느껴지는 14개조 평화 원칙을 발표합니다. 이 평화 원칙은 각 민족의 문제는 타 민족이 간섭하지 않고, 그 민족들이 알아서 해결해야한다는 민족 자결주의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식민지였던 한국에서 여러 독립운동가들이 윌슨의 14개조 평화원칙에 그게 감복해 삼일운동으로 이어지는 간접적인 배경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민족 자결주의는 각 민족은 자신의 정치적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으며, 이 권리는 다른 민족의 간섭을 받을 수 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