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9

1919년 3.1운동에 윌슨의 민족자결주의가 영향을 끼쳤다라고 하는데 그게 정확히 무슨뜻인가요?

1919년 3.1운동이 우리나라에서 일어나게 된 계기가 미국 윌슨 대통령의 민족자결주의가 영향을 끼쳤다라고 하는데 그게 정확히 무슨뜻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현행 전문가blue-check
    이현행 전문가23.05.19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차세계대전은 1914년에서 1918년 사이에 일어났습니다. 전쟁 후반부에 미국이 참전하며 연합국이 승리했습니다. 이에 파리강화조약이 맺어지는데 이때 월슨 대통령이 주창한 것이 민족 자결주의입니다. 그 민족의 일은 그민족 스스로가 결정하게 하자는 것인데 이는 패전국의 식민지를 독립시겨 힘을 빼놓자는 의도였습니다.

    이에 우리민족도 독립의 희망을 갖게 되었으며 3.1운동이 이에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 그러나 실상은 승전국인 일본에는 해당이 되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립 지키던 미국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의 잠수함 공격을 받고 난 후인 1917년 4월 참전을 결정하였습니다. 미국의 참전으로 전세가 연합국의 승리로 굳어져가자 당시 미국의 제28대 대통령 윌슨은 1918년 1월 미국 의회에서 연두 교서를 통해 새로운 전후 질서의 14개조 원칙을 제안하였습니다. 이 원칙에는 비밀 외교의 폐지, 패전국에 대한 무병합⋅무배상 원칙, 그리고 국제 평화 유지 기구인 국제 연맹의 결성 등 다양한 제안이 포함되어 있었지만,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민족 자결주의였습니다. 윌슨이 제안한 민족 자결주의는 각 민족은 자신의 정치적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으며, 이 권리는 다른 민족의 간섭을 받을 수 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습니다.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는 당시 식민지나 반식민지 상태에 있던 약소민족들을 크게 고무시켰습니다. 많은 식민지⋅반식민지 국가들의 독립운동가들과 민중들은 민족 자결주의가 자국의 독립을 지지하는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한국의 독립운동가들도 민족 자결주의에 고무되어 ‘외교독립론’을 통해 한국의 독립이 성취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습니다. 그러나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는 패전국인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만투르크 제국 등의 식민지와 점령지에만 적용되었고, 전승국의 식민지와 점령지에는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때문에 제1차 세계 대전의 전후 처리를 위해 열린 파리 강화 회의에서는 연합국이 지배하거나 점령한 아시아 지역의 식민지 문제는 의제로 거론되지도 않았습니다. 일본도 연합국의 일원으로 참전하였기 때문에 한국의 독립 문제도 논의되지 않게 되었습니다.